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중2 과학 해수의 온도

나의 보물들^^ 2023. 11. 17. 08:00

우리나라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서, 물고기 종류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들어보셨죠?

바닷물의 온도는 위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데요, 이번 시간에는 바닷물의 온도가 다른 이유, 그리고 바닷물의 수심에 따라서 온도가 다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수의 온도

 

해수의 표층 수온분포

해수의 표층 수온은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태양 복사 에너지입니다.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이 도달하는 곳은 해수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참고로 표층은 해수면, 즉 우리가 보는 바닷물 해수면을 말합니다. 

 

1. 위도별 해수 표층 수온

위도에 따라서 태양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는 양이 다르죠. 저위도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이 도달하고, 고위도나 극지방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죠. 그래서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수온은 점점 낮아집니다. 

 

전 세계 해수 표층 수온분포
전 세계 해수 표층 수온 분포 - 비상교육 참조

 

그림을 보면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수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저위도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적게 도달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같은 위도에서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대체로 수온이 비슷하죠. 

 

2. 계절별 해수 수온

일반적으로 겨울보다 여름일 때 수온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여름일 때 더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

해수의 표층 수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량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해수의 연직 수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로 연직이란 지구에서 중력방향으로, 지면에서 수직인 방향을 말합니다.) 표층에서 점점 아래로 내려갈수록 태양 복사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고,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됩니다. 

 

그래서 해수의 연직 수온은 층상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지구의 대기권이 층상구조처럼 말이죠.

 

1. 해수의 층상구조

해수는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에 따라서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으로 구분이 됩니다. 

 

깊이에 따른 해수 수온 분포
깊이에 따른 해수 수온 분포 - 비상교육 참조

 

 

1. 혼합층

- 혼합층은 수온이 일정한 층입니다.

- 혼합층에는 표층부분이 있기 때문에 태양 복사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수온이 높고, 바람의 혼합 작용으로 깊이에 따른 수온이 일정한 층입니다. ( 혼합은 서로 섞이는 작용이에요^^)

-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혼합층의 두께가 두꺼워집니다.(중위도가 저위도보다 두꺼워요^^)

-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위도와 계절에 따라서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바람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이죠.)

 

2. 수온약층

- 수온약층은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층입니다.

- 혼합층 아래에 있기 때문에 수온약층 위쪽에는 따뜻한 해수, 아래쪽에 찬 해수가 있어서 대류현상이 안 일어납니다. 대류현상이 안 일어나므로 혼합층과 심해층 사이의 물질교환이 일어나지 않아서 안정한 층입니다.( 수온약층의 두께는 저위도가 중위도보다 두꺼워요)

 

3. 심해층

- 태양 복사 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않는 구역으로 수온이 낮고 일정한 층입니다. 

- 위도와 계절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의 없는 구역입니다. 

- 극지방에서는 심해층만 보입니다. 

 

2. 위도에 따른 연직 수온 분포

위도에 따라서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위도마다 다른 연직 수온 분포가 나타납니다.

 

위도별 연직 수온 분포
위도별 연직 수온 분포 - 비상교육 참조

 

1. 저위도 해역

- 태양 복사 에너지를 많이 받아서 표층 수온이 높지만,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수온이 낮아지므로, 표층과 심층의 수온차가 크기 때문에 수온 약층이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2. 중위도 해역

- 중위도 해역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혼합층이 가장 두껍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3. 고위도 해역

- 태양 복사 에너지양이 가장 적게 도달하기 때문에 표층 수온이 낮습니다. 그리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수온도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표층과 심층의 수온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다른 위도 같은 층상구조가 보이지 않죠.

 

3. 우리나라 해수의 위도별 계절별 수온 분포

 

우리나라 위도별, 계절별 수온 분포
우리나라 위도별, 계절별 수온 분포 - 비상교육 참조

 

우리나라에서 남쪽이 북쪽보다 수온이 높고,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수온이 높은 이유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을 위도가 낮은 쪽, 그리고 여름철에 더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이상 해수의 온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해수의 흐름인 해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