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중2 과학 8단원 열과 우리 생활 - 1. 온도

나의 보물들^^ 2023. 11. 24. 09:46

중학교 2학년 과학 마지막 단원은 열과 우리 생활이네요. 이 단원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경험할 수 있는 파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온도, 열, 열팽창, 비열, 열량등 생소한 단어가 나오지만, 차근차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면서 본인의 것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첫 번째 중단원은 온도입니다.

 

온도와 열의 이동

 

온도

온도는 물체의 차고 뜨거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물리량을 말합니다.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온도는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절대온도가 있습니다. 단위는 ℃(섭씨), ℉(화씨), K(켈빈)를 사용합니다. 

 

섭씨온도( ℃)

섭씨온도는 1 기압에서 순수한 물의 어느점을 0℃, 물의 끓는점을 100℃로 100등분한 온도를 말합니다. 단위는 ℃(섭씨)를 사용하죠. 예를 들면 50℃는 섭씨 50도라는 것이에요^^

 

화씨온도(℉)

섭씨온도는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100등분 했다면, 화씨온도는 물의 어는점을 32℉, 끓는점을 212℉로 하여 180 등분한 온도를 말합니다. 단위는 ℉(화씨)를 사용해요. 95℉는 화씨 95도라고 하죠. 그리고 화씨온도를 섭씨온도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화씨온도(℉) = 섭씨온도(℃) X 9/5 + 32입니다.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 비상교육 참조

 

절대온도(K)

절대온도는 섭씨온도나 화씨온도처럼 물의 어는점이나 끓는점을 가지고 수치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물체를 이루는 분자운동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온도를 말합니다. 절대온도의 단위는 K(켈빈)를 사용합니다. 절대온도에서 0K은 분자운동이 완전히 멈추었을 때 절대온도이고, 섭씨온도와 눈금 간격이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섭씨온도가 1℃ 높아지면 절대온도고 1K 높아집니다. 화씨온도를 섭씨온도로 변환하는 식처럼 섭씨온도를 절대온도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공식은

절대온도(K) = 섭씨온도( ℃) +273입니다. 예를 들면 0℃를 절대온도로 바꾸면 273K이 되죠, 100℃는 373K가 됩니다.

 

온도와 분자운동

모든 물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은 입자를 원자 또는 분자인데요, 원자가 보이면 분자가 되죠? 원자와 분자는 1단원인 물질의 구성입자에서 배웠습니다. 기억이 안나는 분도 있겠죠??

2023.03.26 - [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 1단원 - 원자와 분자(2)

 

1단원 - 원자와 분자(2)

2023.03.26 - [중등과학문제풀이/중2 과학 이론] - 1단원- 원자와 분자 (1) 1단원- 원자와 분자 (1)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원자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언제부터일까요? 지금

kblue77.tistory.com

여기를 참고하세요^^

 

물질의 성질을 지닌 가장 작은 입자가 분자이죠. 분자는 물질 안에서 가만히 있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데요, 분자는 물질의 온도에 따라서 운동속도가 달라지죠. 온도가 낮으면 운동속도는 둔해지고, 온도가 높으면 운동속도는 활발해집니다.

 

온도에 따른 분자의 운동
온도에 따라서 분자의 운동성 - 비상교육 참조

 

 

일상생활에서 온도와 분자의 운동
온도에 따라서 냄비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운동이 달라져요.

 

온도와 우리 생활

우리가 생활하면서 온도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을 하죠. 추울 때 두꺼운 옷을 입어서 체온을 유지하거나, 음식을 할 때 불을 사용하여 요리를 하다든지 일상생활에서 온도는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상 온도, 온도와 분자운동, 온도와 우리 생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열의 이동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