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과학 7단원은 해수입니다. 해수는 바닷물이죠~ 바닷물은 짜다는 것 다들 알고 있죠?? 얼마나 짤까요? 정확하게 알려면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냥 우리가 마셔보고 "짜네~"라고 하기에는 사람마다 달라서 힘들겠죠? 그래서 바닷물의 짠 정도는 알 수 있는 것이 염류입니다. 정확하게는 염류란 바닷물에 녹아 있는 물질로, 가장 많이 있는 것이 염화나트륨입니다. 그래서 바닷물을 마셨을 때 짠 이유이죠. 그 외에 쓴맛을 내는 염화마그네슘이 두 번째로 많습니다. 두 가지 외에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등 여러 가지 녹아 있습니다. 오늘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분 및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할게요^^ - 문제풀이 - 염분이란 바닷물 1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을 염분이라고 합니다. 단위는..
중2 과학 8단원 비열 문제 어려워하는 친구들이 있어서 비열 문제 같이 볼게요^^ - 문제 풀이 - 문제에서 구하는 것은 섞은 후 물의 온도이죠??? 그럼 섞은 후 물의 온도를 T라고 할게요. 두 개의 물이 있는데 하나는 100도, 하나는 20도이네요. 그럼 물을 섞으면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므로 100도의 물에서 20도의 물로 열이 이동하겠죠? 이때 100도의 물은 열을 잃어버리고, 20도의 물은 열을 얻는데, 잃어버린 열량과 얻은 열량은 같아야 하죠. 열량 구하는 공식은 비열 X 질량 X 온도 변화, 잃은 열량은 1kcal/(kg•°C) X 0.1kg X (100 - T)°C이고, 얻은 열량은 1kcal/(kg°C) X 0.3kg X (T - 20)°C입니다. 두 식이 같아야 하므로, 1kca..
별은 우주에 있죠? 별까지 거리를 파섹(pc)을 이용하여 나타내는데요, 우주에서 거리를 표현하는 것은 파섹 외에 광년, AU도 있습니다. 가끔 시험문제에 가장 긴 거리를 구하는 문제에서 학생들이 처음 들어본 AU 때문에 고민들 많이 하던데요~~정확하게 알고 넘어갑시다~~ 별의 거리 관련 문제 문제풀이우선 별까지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는 pc(파섹)입니다. 그리고 거리를 구할때는 연주시차를 이용하죠? 거리 = 1/연주시차로 구하죠. 1pc(파섹)은 약 3.26광년으로,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이죠. 빛은 1년 동안 얼마나 갈까요? 계산을 하면 빛은 1초에 30만 킬로미터를 갑니다. 그럼 1분이면 30만 km X 60s가 되고, 1시간이면 30만 km X 60s X 60m 이 되죠. 그럼 하루는 30..
비열 들어보셨죠?? 정의는 모르겠지만, 돌솥비빔밤을 먹을 때 밥공기나 일반 냄비에 비하여 식는 것이 느리죠? 왜일까요? 물체마다 비열이 다른데, 비열이 크면 물체의 온도는 천천히 올라가고, 천천히 내려가죠. 반대로 비열이 작으면 물체의 온도는 빨리 올라가고 빨리 내려가죠. 비열이라는 특성 때문인데요, 비열의 정의와 관련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열비열이란 어떤 물질 1k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kcal/kg·℃)이죠. 비열은 물질마다 다르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입니다. 즉, 물질마다 비열이 다르다는 것이죠. 위 그림에서 물과 식용유에 같은 시간 같은 열을 주웠을 떄 온도변화가 다르겠죠? 바로 두 물질의 비열이 다르기 때문이죠. 비열 구하는 공식비열을 구하는 공식보다는 열량을 구하는 공식을 가..
그림과 같은 현상 본 적 있으시죠??? 여러분들은 두 개의 그릇이 포개졌다면 어떻게 하실래요?? 한번 생각해 본 적 있으세요??- 정답 -1. 위쪽 그릇에 찬물을 넣거나, 아래쪽 그릇에 따뜻한 물에 담가두면 됩니다. 왜 그걸까요?? 바로 열팽창 때문인데요, 위쪽 그릇에 찬물을 넣으면 그릇의 입자들의 운동이 둔해지므로, 그릇이 약간 축소하게 되어 쉽게 빠지기 때문이죠. 반대로 아래쪽 그릇에 따뜻한 물을 담가두면 그릇에 분자들이 활발하게 운동을 하여 그릇의 부피가 팽창하여 쉽게 빠질 수 있습니다. 2. 열팽창------------만약 반대로 하면 안되겠죠???유리병 뚜껑이 금속이 경우 잘 안 열리면 힘으로 여는 것보다는 뚜껑에 따뜻한 물을 흘러주면 뚜껑의 부피가 팽창하여 쉽게 열 수 있답니다. 이렇게 되는 ..
중3 기말고사가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이네요. 준비는 잘하고 계신가요?? 네이버 지식인 또는 주변에 별 단원중 어렵다고 하는 부분이 있어서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문제로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어느 별이 움직였을까요??? 보이시나요?? 문제에서 별 B는 움직이지 않았다고 하니까, 별 A가 움직였다는 것 알 수 있고, 별 B는 움직이지 않았으므로 배경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시차는 어떻게 될까요? 시차는 지구가 1년 동안 별을 봤을 때 각이죠? 그럼 가와 나의 합이 시차가 됩니다. 계산을 하면 0.1초가 되네요. 그럼 연주시차는 시차의 1/2 이므로 0.05초가 됩니다. 그럼 별 B의 연주시차는 얼마일까요?? 0이죠.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