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궁금하니?? 우주?? (55)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어제(5월 24일) 누리호 3차 발사였죠. 아쉽지만, 발사시간 3시간을 두고 연기가 되었죠. 이유는 저온헬륨 공급 밸브와 컴퓨터와의 연결문제이죠. 아마도 소프트웨어쪽 문제라고 발표가 나왔습니다. 오늘(5월 25일) 발사가 다시 진행될 예정입니다. 성공했으면 하네요^^ - 저온헬륨 어디에 있나요? - 1) 압력 유지 저온헬륨은 추진체 탱크안에 있습니다. 추진체 탱크안에서 무엇을 할까요? 추진체 탱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죠^^ 추진체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탱크에 들어 있는 기체의 소모가 됩니다. 그러면 탱크 안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탱크가 찌그러지게 되죠. 그럼 발사체는 멀쩡할까요? 발사체 안에 들어 있는 부품마다 제 위치가 있고, 그 위치에서 하는 일이 다 정해져 있죠. 그림처럼 추진체의 ..

오늘 저녁 6시 20분쯤 발사예정이었던 누리호 발사 취소가 되었습니다. 누리호에 저온 헬륨 공급밸브 제어과정서 컴퓨터와 통신 이상으로 누리호 3차 발사 취소가 되었습니다. 오후 5시에 연료 및 산화제 충전을 완료할 계획이었지만, 기술적 결함이 있어서 긴급히 관계회의를 열었죠. 회의에서 오늘 발사는 취소로 결정이 났습니다. 대신, 누리호 발사대 기립은 유지하는데요, 발사 예비일이 25~31이므로 다시 발사가 되어 성공이 되었으면 합니다.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5월 24일) 저녁 6시 24분(±30분) 나로 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발사체에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실어서 발사를 합니다. 누리호(KSLV-Ⅱ)는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입니다. 21년 10월에 발사를 했지만, 아쉽게 실패를 했죠. 그리고 6개월 뒤 22년 6월에 발사를 하여 성공을 했습니다. 세계에서 11번째로 자력 우주로켓 발사국이 되었죠. 그리고 1톤 이상 실용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22년 6월에 발사할 때 누리호에는 위성이 실어있었습니다만, 그 때는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발사의 주목적은 실용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검증을 위한 단계이죠. 오늘 발사예정인 3차 발사가 진정한 발사체의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누리호의 3차 발사의..

혹시 아르테미스 계획이라고 들어보셨나요???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도착한 것이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도착한 것이죠. 72년까지 총 6번 달에 갔습니다. 원래 아폴로계획은 1961년 구소련(러시아)의 우주선 보스토크 1호에 유리 가가린 비행사가 우주에 간 최초의 인간이었죠. 미국은 러시아보다 우주의 기술이 앞섰다고 믿고 싶었지만, 항상 러시아보다 늦게 성공을 하여 깊은 상처를 받게 되었답니다.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취임하고 나서 사람을 달에 착륙시키고 돌아오겠다는 포부를 발표하면서 아폴로계획이 실행하게 되었죠. 많은 실패를 했지만,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도착을 하고 닐 암스트롱, 버스 올드린이 달에 착륙하면서 미국의 우주 기술이 러시아보다 높다는 것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가 5월 24일 3차 발사 예정입니다. 앞으로 3주 남았네요. 2013년 나로호를 세 번 발사를 해서 세 번째 성공하면서 스페이스 클럽에 12번째로 가입한 우리나라. 나로호는 100% 국내 기술로 개발이 안되었지만, 2단 엔진에 사용했던 7톤 엔진을 업그레이드하여 75톤 엔진을 개발하였고, 누리호 1단에 75톤 엔진 4개를 클러스터링 하여 2022년 6월에 멋지게 성공을 했죠. - 지금까지는 시험, 이번에는 실전 - 지금까지 나로호나 누리호에 탑재된 위성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발사체의 성공여부가 불투명 하였기에 실제 인공위성을 탑재보다는 모사체를 이용하였다면, 이번 누리호 3차 발사에는 실제 활용되는 인공위성 8기가 탑재가 되어 순차적으로 발사체를 빠져나오면서..

아랍에미레이트(UAE)에서 화성에서 보낸 화성 탐사선 아말이 지금까지 지구에 보낸 사진 3천 장을 조합하여 화성의 지도를 제작하였다. 지도에서 화성의 다양한 지형과 극지방에 만년설이 보인다. 지금까지 화성 탐사선은 화성 표면에 도착을 하여 일부만 탐사를 했는데, 이번 아말은 화성 상공에 떠서 화성 사진을 촬영하여 보냈다고 하네요. 20년 7월에 발사를 하여 7개월간 이동한 후 21년 2월 화성 상공에 도착했고. 지금까지 화성의 대기에 대한 연구를 했다고 합니다. 아랍어로 희망이라는 뜻의 아말은 UAE 건국 50주년을 맞이하여 21년에 탐사선을 보내는 '에미리트 화성 탐사 프로젝트(EMM)'의 일환으로 20년 7월 20일 발사된 화성탐사선은 7개월간 이동한 뒤 화성상공에 도착했죠. UAE는 구소련과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