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기말고사가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이네요. 준비는 잘하고 계신가요?? 네이버 지식인 또는 주변에 별 단원중 어렵다고 하는 부분이 있어서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문제로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어느 별이 움직였을까요??? 보이시나요?? 문제에서 별 B는 움직이지 않았다고 하니까, 별 A가 움직였다는 것 알 수 있고, 별 B는 움직이지 않았으므로 배경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시차는 어떻게 될까요? 시차는 지구가 1년 동안 별을 봤을 때 각이죠? 그럼 가와 나의 합이 시차가 됩니다. 계산을 하면 0.1초가 되네요. 그럼 연주시차는 시차의 1/2 이므로 0.05초가 됩니다. 그럼 별 B의 연주시차는 얼마일까요?? 0이죠. 왜..
5월도 중순을 넘어 거의 끝이 보이네요~~~ 한 달 뒤면 1학기 기말고사가 시작이 되겠죠?? 한 달이란 시간이 남았는데, 준비 잘하셔서 여러분들이 원하는 점수를 얻기를 기원합니다. 오늘은 2단원 기권과 날씨 부분 기출문제입니다. 전국에 있는 중학교중 제가 가지고 있는 중학교 기출문제를 뽑아서 정리를 한 부분이라서 절대로 배포는 하지 마시고, 개인적인 용도로만 이용해 주세요~~ 직접 풀어보세요~~
1단원인 화학반응의 규칙성과 에너지 변화에 대한 기출문제를 올렸습니다. 풀어보셨나요?? 공부를 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문제를 많이 푸는 것도 좋지만, 본인 스스로 이론 즉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있는가?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죠. 많은 문제를 풀어도 개념이 정확하게 잡혀있지 않다면 응용이 된 문제에서는 막히게 되죠. 그래서 개념 부분을 꼼꼼히 읽는 습관을 가졌으면 합니다.^^ 기출문제를 꼭 풀고나서 정답을 확인하시기를 ~~~ 기출문제 오타가 있네요~~ 검수를 제대로 못해서 죄송합니다.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중간고사 잘 보고 계신가요? 늘 시험은 힘들죠~~ 아직 시험 보기 전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화학반응의 규칙성에는 크게 세 가지 법칙이 있죠. 질량보존법칙, 일정성분비법칙, 기체반응법칙이 있는데요~~각각의 법칙에 대해서 잘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에요^^ 만약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문의하시면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문제의 정답은 나중에 올리도록 할게요^^ 총 15문제입니다. 직접 풀어보시기를 바랍니다.^^
질량보존법칙은 반응 전 총 질량과 반응 후 총질량은 보존이 된다. 이죠?? 어렵지 않아요. 덧셈이나 뺄셈만 할 수 있으면 누구나 가능하죠.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할 때 수소 2g과 산소 16g이 반응하여서 물을 생성했다면 물은 몇 g이 나올까요? 모두 사용했다는 가정하에 물을 수소와 산소의 질량의 합만큼인 18g이 생성이 됩니다. 이해가 되시죠?? 질량보존법칙 왜 성립하는가?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화학반응이 일어날때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소멸, 생성, 변환등이 안 일어나고, 원래 있던 원자들만 존재하고, 개수도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H2 + O2 -> 2H2O 여기서 화살표 왼쪽이 반응 전, 오른쪽이 반응 후 이죠. 반응 전에 수소가 4개, 산소가 2개 있고, 반응 후에도..
중3 과학 1단원은 화학반응의 규칙성과 에너지 변화입니다. 3학년이 되어서 처음 배우는 화학단원.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아요. 지식인에서 답변을 하고 있는데, 질량보존법칙에 대해서 물어보고 있네요. 그래서 1단원에 대한 법칙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량보존법칙이란? 1772년 프랑스 화학자인 라부아지에에 의해서 정립된 법칙으로, 반응 전 총 질량과 반응 후 총질량은 항상 같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한다고 할게요. 그럼, 반응 전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기 전이고, 반응 후는 물이 생성된 것이죠. 수소 1g과 산소 8g이 반응하여 물을 생성한다면 물의 질량은 9g이 됩니다. 반응 전 수소와 산소의 총질량이 1 + 8이고, 생성된 물의 질량이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