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저온헬륨 <누리호 3차 발사 연기의 이유> 본문

궁금하니?? 우주??

저온헬륨 <누리호 3차 발사 연기의 이유>

나의 보물들^^ 2023. 5. 25. 09:40

어제(5월 24일) 누리호 3차 발사였죠.

아쉽지만, 발사시간 3시간을 두고 연기가 되었죠. 이유는 저온헬륨 공급 밸브와 컴퓨터와의 연결문제이죠.

아마도 소프트웨어쪽 문제라고 발표가 나왔습니다. 오늘(5월 25일) 발사가 다시 진행될 예정입니다. 성공했으면 하네요^^

저온헬륨
저온헬륨은 어디에 사용할까?

 

 

 

- 저온헬륨 어디에 있나요? -

1) 압력 유지

저온헬륨은 추진체 탱크안에 있습니다. 

추진체 탱크안에서 무엇을 할까요? 추진체 탱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죠^^

추진체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탱크에 들어 있는 기체의 소모가 됩니다. 그러면 탱크 안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탱크가 찌그러지게 되죠. 그럼 발사체는 멀쩡할까요? 발사체 안에 들어 있는 부품마다 제 위치가 있고, 그 위치에서 하는 일이 다 정해져 있죠. 

찌그러진 페트병
1번처럼 되어 있어야 정상인데, 2번처럼 되면 발사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림처럼 추진체의 탱크가 찌그러진 페트병처럼 되면 발사체 안에서 문제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문제입니다.

2) 액체 산소의 끓는점 조절

발사체의 산화제로 액체산소를 사용합니다. 액체산소의 끓는점은 영하 183도입니다. 엄청 낮은 온도이죠. 그래서 액체산소가 들어 있는 탱크에서는 액체산소가 물처럼 계속 끓어오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왜? 액체산소의 끓는점보다 높기 때문이죠. 여기서 저온헬륨의 역할이 또 있습니다. 바로 압력을 높여주는 역할이죠.

산에서 밥을 하면 어떻게 되나요?? 밥이 설 익게 되죠? 왜죠? 바로 압력이 낮아서 입니다. 물질의 끓는점은 압력에 비례를 합니다. 압력이 낮으면 끓는점도 낮아지고, 압력이 높으면 끓는점도 높아지죠. 

추진체 안에 저온헬륨으로 인해 압력을 높여주면 액체산소의 끓는점이 올라가서 물이 끓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요. 왜? 압력이 높아졌으니까요~~ 

 

 

 

이런 이유로 저온헬륨이 발사체 안에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온헬륨을 발사체에서 감초역할을 한다고 하죠.

오늘 다시 발사가 이뤄지기를 바라고, 꼭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누리호 3차 발사 연기에 대한 기술적 문제였던 저온 헬륨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구독 사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