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단원은 열과 관련된 단원입니다. 열의 이동, 단열, 열평형, 열량, 비열, 열팽창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죠. 앞에서 열의 이동, 단열, 열평형, 열량, 비열에 대해서 문제 풀이를 했고, 오늘은 열팽창이 관련된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 문제 -- 문제 풀이 -비열이란 물질 1kg을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비열의 물질마다 달라요. 그래서 물질의 특성으로 봅니다. 그리고 비열을 구하는 공식은 열량을 구하는 공식에서 유도가 되는데요, 열량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 그럼 비열 = 열량 / (질량 X 온도변화)로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열량, 같은 질량은 경우 비열이 크면 온도변화는 작고, 비열이 작으면 온도변화는 큽니다. 즉, 비열과 온도변화는 반비례 관계라는 것이죠.우리 ..
8단원에서 어려운 부분이 단열, 비열, 열팽창인 것 같아요. 많이 질문도 하고, 문제를 풀어보라고 하면 많이들 틀린 부분이라서~~ 그래서 이 부분에 관한 기출문제을 가지고 풀이를 하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 -- 문제 풀이 -보온병 내부는 그림처럼 되어 있는데요, 액체가 들어 있는 공간은 은으로 도금이 되어 있는데, 이는 열이 복사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벽은 이중으로 되어 있고, 안은 진공으로 되어 있는데요, 진공이면 아무것도 없는 것이죠? 입자가 없기 때문에 대류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 따뜻한 물이 벽을 진동하여 전도가 될 수 있는데, 전도된 열이 이동을 하고 싶어도 진공이기 때문에 이동을 할 수 없죠. 따라서 이중벽 사이를 진공으로 만든 이유는 전도와 대류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
24년도 보름정도 남았네요, 요즘은 겨울방학을 빨라야 12월 말 또는 1월 초이죠. 겨울방학이 되기 전 남아있는 기말고사 잘 봐서 24년도 마무리 잘했으면 좋겠네요^^- 첫 번째 문제 -- 문제 풀이 -그림에서 전국에 손을 가까이하면 손이 따뜻하죠? 이는 열의 이동 중 복사입니다. 열이 이동하는 방법에는 전도, 대류, 복사로 전도는 물체에 열을 가하면 입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이때 이웃한 입자들로부터 진동이 전달되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주로 고체에서 일어나고, 대류는 입자들이 열을 직접 가지고 이동하는 것으로, 액체와 기체에서 볼 수 있죠. 마지막으로 복사는 열이 입자들의 도움 없이 직접 이동하는 것으로, 태양에서 나온 빛이 지구로 이동하는 것이 복사입니다. 그림도 전구에서 나온 열이 직접..
해수의 단원중 수권의 구조, 수권의 성분, 수권의 온도등에 대해서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이를 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해류, 조석주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 문제 풀이 -우리나라에 흐르는 해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올라오는 난류(쿠로시오해류)와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내려오는 해류(북한한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난류는 그림처럼 A와 C로 나누게 되는데요, A는 황해(서해)로 흐르는 황해난류, C는 동해를 흐르는 동한난류이고, B는 북한에서 내려오는 북한한류입니다. 동해안에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구역이라서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데, 이런 구역을 조경수역이라고 합니다.보기를 볼까요?ㄱ. A, C는 수온이 낮은 해류이다.- A와 C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올라오는 해류이죠? 수온이 높은 난..
오늘은 해수 파트 대비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문제 풀이를 하겠습니다.^^ 날씨가 진짜 춥네요. 여기는 기온은 10도 미만이라서 눈은 아직이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서 체감온도는 영하권이네요 ㅠㅠㅠ 암튼, 시험이 시작한 친구들도 아직 시작전이 친구들도 있겠지만, 남은 기간 후회 없이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우리나라에서 수자원은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가장 큰 비중은 농업용수이고, 생활용수의 사용량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데이터를 통해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보기를 볼까요?ㄱ. 농업용수로 가장 많이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자원 용도는 농업용수이고, 두 번째는 생활용수입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출근하는데 비가 오네요~~ 서울은 눈이 오는지, 행안부에서 재난문자로 집 앞에 쌓인 눈은 본인이 치우자고~~~ 암튼, 겨울은 겨울이네요~~제가 좋아하는 말 중 "겨울이라면 반드시 봄은 온다"는 말이 있어요~~ 인생을 살다 보면 우여곡절이 많죠? 인생곡선을 주식 차트와 비교를 하는데, 주식 차트를 보면 항상 우상향은 없잖아요. 올라가다가 내려가고, 또 올라가다가 내려가고, 큰 악재를 만나면 급락이 나오기도 하고, 큰 호재가 나온 급상승을 하기도 하고요~~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라고 생각을 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지금이 겨울이라고 생각이 든다면, 반드시 봄은 옵니다. 왜? 자연의 섭리이니까요~~ 힘내세요^^서론이 길었네요~~ ㅋㅋㅋㅋ 그럼 문제를 볼까요??- 문제풀이 -우선 열평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