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고 있네요~~ 그럼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오늘은 별의 등급인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풀이ㄱ. 지구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별은 B이다.- 지구에서 거리가 가까운지 먼지는 겉보기 등급 - 절대 등급을 뺀 값이 작을수록 지구에서 가깝고, 클수록 멀리 있는 별입니다. 그럼, A부터 F까지 직접 계산해 보면 금방 답이 보이죠~~A는 0, B는 -20, C는 0, D는 10, E는 0, F는 20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별은 B이고 가장 멀리 있는 별은 F가 되네요. ㄴ. 실제 밝기가 가장 밝은 별은 F이다.- 실제 밝기는 겉보기 등급이 아닌 절대 등급으로 비교를 합니다.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이 10pc에 있다고 했을 때 밝기이죠, 모든 별이 같은 위치에 있다고..
세포분열 학교 기출문제를 토대로 만든 문제입니다. 사람의 세포에는 체세포와 생식세포가 있죠? 그리고 세포는 일정크기가 되면 더 이상 커지지 않고 세포분열을 하여 세포의 수를 늘리게 됩니다. 그 이유는 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세포 안으로 물질이 효율적으로 교환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세포의 크기는 일정이상이 되면 커지는 것이 아니라 분열을 한다는 것이죠^^ 기출문제10문제 내외로 세포분열을 하는 이유, 체세포 분열, 생식세포 분열(감수분열)에 대한 문제를 만들어서 업로드 합니다. 이 문제들은 학교 기출문제를 토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출력하여 푸는 것은 상관없지만, 판매등 수익을 위해서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꼭 잊지 마세요~ 답지는 다음 시간에 올리겠습니다~~ 근데 답지가 없어서 푸..
질량보존법칙은 반응 전 총 질량과 반응 후 총질량은 보존이 된다. 이죠?? 어렵지 않아요. 덧셈이나 뺄셈만 할 수 있으면 누구나 가능하죠.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할 때 수소 2g과 산소 16g이 반응하여서 물을 생성했다면 물은 몇 g이 나올까요? 모두 사용했다는 가정하에 물을 수소와 산소의 질량의 합만큼인 18g이 생성이 됩니다. 이해가 되시죠?? 질량보존법칙 왜 성립하는가? 질량이 보존되는 이유는 화학반응이 일어날때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소멸, 생성, 변환등이 안 일어나고, 원래 있던 원자들만 존재하고, 개수도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H2 + O2 -> 2H2O 여기서 화살표 왼쪽이 반응 전, 오른쪽이 반응 후 이죠. 반응 전에 수소가 4개, 산소가 2개 있고, 반응 후에도..
중3 과학 1단원은 화학반응의 규칙성과 에너지 변화입니다. 3학년이 되어서 처음 배우는 화학단원.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아요. 지식인에서 답변을 하고 있는데, 질량보존법칙에 대해서 물어보고 있네요. 그래서 1단원에 대한 법칙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량보존법칙이란? 1772년 프랑스 화학자인 라부아지에에 의해서 정립된 법칙으로, 반응 전 총 질량과 반응 후 총질량은 항상 같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한다고 할게요. 그럼, 반응 전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기 전이고, 반응 후는 물이 생성된 것이죠. 수소 1g과 산소 8g이 반응하여 물을 생성한다면 물의 질량은 9g이 됩니다. 반응 전 수소와 산소의 총질량이 1 + 8이고, 생성된 물의 질량이 9..
이번 단원은 별의 성질인데요, 별이 어떤 성질을 갖고 있는가? 아니고요, 정확하는 별의 거리에 따라서 밝기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별의 실제 밝기와 지구에서 볼 때 밝기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별의 밝기 별의 밝기는 별이 실제로 방출하는 빛의 양과 지구에서 별까지 거리에 따라서 밝기는 달라지는데요, 지구에서 별까지 거리가 같다면 방출하는 빛의 양에 따라서 밝기가 달라지겠고, 방출하는 빛의 양이 같다면 지구에서 별까지 거리에 따라서 밝기는 달라지죠. 1. 지구에서 별까지 거리가 같다면 지구에서 별까지 거리는 같다면 별이 방출하는 빛의 양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당연히 방출하는 빛의 양이 많을수록 밝게 보이겠죠? 예를 들면 여러분 앞에 손전등 2개가 동시에 같은 거리에서 여러분을 비추면 어느..
버스나 지하철 등 교통카드를 리더기에 갖다 되면 "승인이 되었습니다."라는 말 들어봤죠? 어떻게 갖다 되면 승인이 될까? 이는 전자기유도 또는 패러데이 법칙이라는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오늘은 중3 때 배우는 전기에너지에서 전자기 유도와 전자기 유도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에너지 전기에너지는 전류가 흐를 때 공급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우리 생활에서 전기 에너지는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고, 전기 에너지를 변화하여 다른 에너지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더울때 선풍기 많이 사용하시죠? 선풍기에 전선을 연결하면 선풍기 안에 있는 바람개비가 돌아가면서 시원한 바람이 나오죠. 이는 전기 에너지가 바람개비를 돌리는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이 되는 것입니다. 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