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평형 문제를 가져왔는데, 조금은 생각을 해야 하는 문제이네요. 학교 기출문제입니다. 그럼 같이 볼까요??- 문제 풀이 -열평형은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온도가 낮은 물체로 열이 이동하여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이죠. 이때 고온의 물체는 열을 잃고, 저온의 물체는 열을 얻는데, 잃은 열량과 얻은 열량은 서로 같다는 것. 꼭 기억합시다^^문제에서 A와 B 중 어느 쪽이 더 온도가 높다는 말은 없네요. 그럼 어떻게 문제를 풀까요? 표에 나와있는 기호로 구해야 하네요. 표를 보면 a와 3a가 있고, 열평형이 되는 시간은 t3이라고 하므로, 열평형이 되었을 때 온도는 c가 되겠네요. 그럼 물체 A는 점점 온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겠네요. 따라서 저온의 물체는 A가 ..
8단원은 열에 대한 단원이죠~ 소단원에는 열, 열의 이동, 열평형, 비열, 열팽창 등등 여러 가지 있는데요, 이번 소개할 문제는 비열, 열팽창, 열의 이동에 대한 문제입니다. 한번 같이 볼까요? 첫 번째 문제는 열팽창 문제입니다. 문제풀이그림과 같은 현상 일상생활에서 자주 본 적 있으시죠?? 금속 그릇이 포개졌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리가 배웠던 방법을 이용하면 됩니다. 바로 열팽창이죠^^ 열팽창은 물체에 열을 가하면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입자들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길이나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이죠? 우선, 아래쪽 그릇의 부피가 늘어나면 위쪽 그릇이 쉽게 빠지겠죠? 근데, 위쪽 그릇에 찬물을 부으면 열팽창에 반대 현상으로 길이나 부피가 줄어들겠죠? 이런 방법으로 이용하면..
열팽창을 물체에 열을 주었을 때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면 입자들 간의 거리가 늘어나 길이 또는 부피가 커지는 현상이죠. 이런 열팽창을 이용하여 우리 주변에서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바이메탈입니다. 바이메탈은 두 개의 금속을 붙인 것인데요, 이때 금속의 열팽창이 달라야 한다는 것~~ 어디서 사용할까요? 화재경보기, 다리미등에서 사용되고 있죠. 오늘은 바이메탈에 관한 문제를 보도록 할게요~~- 문제풀이 -바이메탈은 그림처럼 두 개의 금속을 붙인 것인데요, 열팽창이 다르기 때문에 물체에 열을 가하면 열팽창이 큰 쪽이 작은 쪽에 비해서 많이 늘어나겠죠? 그러면 열팽창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휘게 됩니다. 따라서 A와 B를 보면 위쪽으로 휘어지고 있죠? 그러면 A가 B..
비열 들어보셨죠?? 정의는 모르겠지만, 돌솥비빔밤을 먹을 때 밥공기나 일반 냄비에 비하여 식는 것이 느리죠? 왜일까요? 물체마다 비열이 다른데, 비열이 크면 물체의 온도는 천천히 올라가고, 천천히 내려가죠. 반대로 비열이 작으면 물체의 온도는 빨리 올라가고 빨리 내려가죠. 비열이라는 특성 때문인데요, 비열의 정의와 관련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열비열이란 어떤 물질 1k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kcal/kg·℃)이죠. 비열은 물질마다 다르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입니다. 즉, 물질마다 비열이 다르다는 것이죠. 위 그림에서 물과 식용유에 같은 시간 같은 열을 주웠을 떄 온도변화가 다르겠죠? 바로 두 물질의 비열이 다르기 때문이죠. 비열 구하는 공식비열을 구하는 공식보다는 열량을 구하는 공식을 가..
용해는 어떤 물질이 물이나 에탄올 같은 용매에 녹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녹는 물질을 용질, 녹이는 물질을 용매, 용질과 용매를 합한 혼합물을 용액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설탕을 물에 녹이면 설팅아 물에 녹죠? 그럼 설탕은 녹는 물질이므로 용질, 물은 설탕을 녹이므로 용매, 설탕물은 설탕과 물이 합친 혼합물로 용액이 됩니다. 용해도는 특정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한 녹을 수 있는 양질의 양을 말합니다. 가령 60도 물에서 염화나트륨의 용해도가 80이라면 염화나트륨은 60도 물에서 녹을 수 있는 양이 80g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그 때 포화용액은 180g이 됩니다. 왜? 용액은 용질과 용매를 합한 것이므로, 이해가 되시나요? 지식인 활동을 하다보면 용해도에 대한 질문이 많아서 도움이 되고픈 마음으로..
1단원 물질의 구성은 물질이 무엇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단원입니다. 원자, 분자, 이온 등이 언급이 되는데요~ 그래서 어렵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죠^^ 이론에 대해서는 중2 과학 카테고리에서 정리했으니까, 잘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번 기출문제는 물질의 구성에서 중단원 2와 3의 내용 위주로 합친 기출문제입니다. 실제 중학교 기출문제이니까, 직접 출력해서 풀어보세요. 정답은 따로 올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