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번문제 1 ~ 2 번 문제풀이 1. 라부아지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4원소설이 실험으로 틀렸다는 것을 증명했죠. 이때 한 실험이 무엇인지 물어보네요~~ 참고로 라부아지에가 한 실험은 물 분해 실험입니다. 2. 스펙트럼에 관한 문제입니다. 푸는 방법은 스펙트럼을 이어보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그럼, 원소 A와 B가 들어 있는 물질 가~마까지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문제 문제풀이 세 번째 문제는 원소와 원자의 개념에 대한 문제입니다. 원소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성분이고, 원자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입자입니다. 원소와 원자를 구별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셀 수 있는지 없는지예요^^. 원소는 성분이기 때문에 셀 수 없고, 원자는 입자 즉, 알갱이이죠. 그래서 셀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의사소통을 할 때 언어를 사용하죠. 그런데,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 의사소통하는데 큰 불편함을 없죠, 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많이 불편하겠죠? 원소라는 것은 물질을 표현하는 기호이면서 약속이고, 규칙이죠. 오래전부터 원소를 사용하는데 그림이나 기호를 통해서 많이 사용했습니다. - 원소 기호 변천사 - - 중세시대 : 중세시대에는 연금술이 많은 활약을 했죠. 당시 연금술사들은 원소를 그림으로 표현을 했습니다. - 근대시대 : 근대에 와서 돌턴이라는 화학자가 원과 기호로 원소기호를 표현을 했습니다. 그런데, 원소들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원소기호가 점점 복잡해지고, 기억하기도 쉽지는 않았죠. - 현재: 원소의 알파벳을 이용하여 기호를 사용하고 있죠. 이 방법은 ..
원소 문제. 총 다섯 문제를 올렸습니다. 한번 풀어보세요^^ 2023.03.09 - [중등과학문제풀이/중2 과학 이론] - 중2 과학 1단원 - 원소(고대~근대까지 물질관)1 중2 과학 1단원 - 원소(고대~근대까지 물질관)1 안녕하세요^^ 중3 과학 1학기를 끝났고,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중2 과학도 시작을 해봐야 하겠죠?? 중2 과학은 1, 2학기에 총 8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원은 물질의 구성으로 kblue77.tistory.com 2023.03.11 - [중등과학문제풀이/중2 과학 이론] - 1단원 - 원소 (2) 1단원 - 원소 (2) 원소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으로, 수소나 산소처럼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다. 원소는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며, 화학 ..
2023.03.09 - [중등과학문제풀이/중2 과학 이론] - 중2 과학 1단원 - 원소(고대~근대까지 물질관)1 중2 과학 1단원 - 원소(고대~근대까지 물질관)1 안녕하세요^^ 중3 과학 1학기를 끝났고,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중2 과학도 시작을 해봐야 하겠죠?? 중2 과학은 1, 2학기에 총 8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원은 물질의 구성으로 kblue77.tistory.com 2023.03.11 - [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 1단원 - 원소 (2) 1단원 - 원소 (2) 원소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으로, 수소나 산소처럼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다. 원소는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며, 화학 변화가 일어나도 원소는 변하지 않는다. 현재까지 알 kblue77...
문제 오늘은 호흡이 일어날 때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기체 교환의 원리 관한 문제를 보도록 할게요^^ 문제풀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호흡은 두 가지가 있는데, 보통 숨 쉬는 것만 생각하시죠?? 숨 쉬면서 공기가 폐로 들어갈 때 호흡이 일어나고, 폐로 들어간 공기는 혈관을 통해서 조직세포에서 교환이 일어나죠. 폐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호흡을 외호흡, 조직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호흡을 내호흡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가)는 외호흡이고, 나)는 내호흡이네요. 몸에서 기체가 교환이 되는 원리는 농도차에 의한 확산이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농도가 진하 곳에서 옅은 곳으로 기체가 이동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폐에는 어떤 기체가 많을까요? 코로 들어오는 산소가 맞겠죠? 그럼 폐포와 붙어 있는 ..
오늘은 해수 단원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문제입니다. 바로 염류의 양 구하기 문제인데요. 염류의 양 구하는 문제는 비율을 가지고 계산하시면 금방 구할 수 있고요, 염분을 구하는 방법, 염분비 일정 법칙을 가지고 다른 지역 해수에서 염류의 양 구하는 문제 등 여러 가지가 나오는데 학생들이 싫어하죠. 왜냐하면 계산이 복잡해서 그런 것 같아요. 염류의 양 문제 문제풀이 문제에서 해수의 염분은 40psu이고, 각 염류의 비율이 나와있다. 문제는 염화 나트륨의 질량을 구하는 문제죠. 염화나트륨의 질량을 알려면 해수 1kg 속에 들어 있는 총염류의 양을 알아야 하는데, 그건 이미 나와 있죠. 염분이 40 psu이고, 해수의 1kg이므로, 해수 1kg 속에 들어 있는 총염류의 양은 40g이다. 따라서, 총염류의 양 7..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