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도 보름정도 남았네요, 요즘은 겨울방학을 빨라야 12월 말 또는 1월 초이죠. 겨울방학이 되기 전 남아있는 기말고사 잘 봐서 24년도 마무리 잘했으면 좋겠네요^^- 첫 번째 문제 -- 문제 풀이 -그림에서 전국에 손을 가까이하면 손이 따뜻하죠? 이는 열의 이동 중 복사입니다. 열이 이동하는 방법에는 전도, 대류, 복사로 전도는 물체에 열을 가하면 입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이때 이웃한 입자들로부터 진동이 전달되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주로 고체에서 일어나고, 대류는 입자들이 열을 직접 가지고 이동하는 것으로, 액체와 기체에서 볼 수 있죠. 마지막으로 복사는 열이 입자들의 도움 없이 직접 이동하는 것으로, 태양에서 나온 빛이 지구로 이동하는 것이 복사입니다. 그림도 전구에서 나온 열이 직접..
해수의 단원중 수권의 구조, 수권의 성분, 수권의 온도등에 대해서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이를 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해류, 조석주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 문제 풀이 -우리나라에 흐르는 해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올라오는 난류(쿠로시오해류)와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내려오는 해류(북한한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난류는 그림처럼 A와 C로 나누게 되는데요, A는 황해(서해)로 흐르는 황해난류, C는 동해를 흐르는 동한난류이고, B는 북한에서 내려오는 북한한류입니다. 동해안에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구역이라서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데, 이런 구역을 조경수역이라고 합니다.보기를 볼까요?ㄱ. A, C는 수온이 낮은 해류이다.- A와 C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올라오는 해류이죠? 수온이 높은 난..
오늘은 해수 파트 대비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문제 풀이를 하겠습니다.^^ 날씨가 진짜 춥네요. 여기는 기온은 10도 미만이라서 눈은 아직이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서 체감온도는 영하권이네요 ㅠㅠㅠ 암튼, 시험이 시작한 친구들도 아직 시작전이 친구들도 있겠지만, 남은 기간 후회 없이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우리나라에서 수자원은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가장 큰 비중은 농업용수이고, 생활용수의 사용량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데이터를 통해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보기를 볼까요?ㄱ. 농업용수로 가장 많이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자원 용도는 농업용수이고, 두 번째는 생활용수입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출근하는데 비가 오네요~~ 서울은 눈이 오는지, 행안부에서 재난문자로 집 앞에 쌓인 눈은 본인이 치우자고~~~ 암튼, 겨울은 겨울이네요~~제가 좋아하는 말 중 "겨울이라면 반드시 봄은 온다"는 말이 있어요~~ 인생을 살다 보면 우여곡절이 많죠? 인생곡선을 주식 차트와 비교를 하는데, 주식 차트를 보면 항상 우상향은 없잖아요. 올라가다가 내려가고, 또 올라가다가 내려가고, 큰 악재를 만나면 급락이 나오기도 하고, 큰 호재가 나온 급상승을 하기도 하고요~~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라고 생각을 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지금이 겨울이라고 생각이 든다면, 반드시 봄은 옵니다. 왜? 자연의 섭리이니까요~~ 힘내세요^^서론이 길었네요~~ ㅋㅋㅋㅋ 그럼 문제를 볼까요??- 문제풀이 -우선 열평형은..
열평형 문제를 가져왔는데, 조금은 생각을 해야 하는 문제이네요. 학교 기출문제입니다. 그럼 같이 볼까요??- 문제 풀이 -열평형은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온도가 낮은 물체로 열이 이동하여 두 물체의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이죠. 이때 고온의 물체는 열을 잃고, 저온의 물체는 열을 얻는데, 잃은 열량과 얻은 열량은 서로 같다는 것. 꼭 기억합시다^^문제에서 A와 B 중 어느 쪽이 더 온도가 높다는 말은 없네요. 그럼 어떻게 문제를 풀까요? 표에 나와있는 기호로 구해야 하네요. 표를 보면 a와 3a가 있고, 열평형이 되는 시간은 t3이라고 하므로, 열평형이 되었을 때 온도는 c가 되겠네요. 그럼 물체 A는 점점 온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겠네요. 따라서 저온의 물체는 A가 ..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네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으니까요, 천천히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공부를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봅니다. 다만, 시간이 없다고 조급하게 이 과목, 저 과목 하지 마시고요~~ 알았죠?? 오늘도 염류의 문제 가지고 왔습니다. 한번 볼까요?? 첫 번째 문제 문제 풀이해수에는 물과 여러가지 물질이 녹여 있죠? 물을 제외한 물질을 염류라고 하죠? 이 부분은 알고 있으시고요~~ 염류 중 가장 많이 녹아 있는 것은 염화나트륨이고,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염화마그네슘이죠, 해수 A에 가장 많이 있는 것이 가)이므로, 염화나트륨이 되겠네요. 그럼 나)는 염화마그네슘이 되겠네요. 두 번쨰 염분비 일정 법칙은 해수마다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어떤 해수든 같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