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과학 해수 단원 중 염류 문제 및 풀이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네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으니까요, 천천히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공부를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봅니다. 다만, 시간이 없다고 조급하게 이 과목, 저 과목 하지 마시고요~~ 알았죠?? 오늘도 염류의 문제 가지고 왔습니다. 한번 볼까요??

 

첫 번째 문제

염류 문제
모 중학교 2학년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 풀이

해수에는 물과 여러가지 물질이 녹여 있죠? 물을 제외한 물질을 염류라고 하죠? 이 부분은 알고 있으시고요~~ 염류 중 가장 많이 녹아 있는 것은 염화나트륨이고,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염화마그네슘이죠, 해수 A에 가장 많이 있는 것이 가)이므로, 염화나트륨이 되겠네요. 그럼 나)는 염화마그네슘이 되겠네요.

 

두 번쨰 염분비 일정 법칙은 해수마다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어떤 해수든 같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해수 A에 가)의 비율이 77%이면 해수 B에 가)의 비율도 77%라는 것입니다.

해수 A에서 가)의 비율은 (23.4g /1000g) X 100 하면 되죠? 그럼 해수 B에 들어 있는 나)의 비율도 가)의 비율과 같아야 하므로 (ㄱg/1000g) X100  = (23.4g/1000g) X100 이렇게 계산을 하여 ㄱ를 얻을 수 있고요, 또는 비례식을 이용하여 풀 수 도 있습니다.

23.4 : 1.5 = ㄱ : 2.0 이렇게 풀어도 됩니다.

그럼 ㄴ도 같은 방법으로 풀면 되겠죠?? 

 

두 번째 문제

염류 문제 2
모 중학교 2학년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두 번째 문제는 첫 번째 문제에 표를 이용하면 됩니다.

 

해수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염류는 염화나트륨으로, 짠맛이 나고, 두 번째는 염화 마그네슘이고, 쓴맛은 냅니다. 

ㄷ. 염분은 해수 1000g에 들어 있는 염류의 양(g)이죠. 구하는 방법은 (염류의 양(g) / 해수 1000g) X 100 하면 됩니다. 

해수 A의 염분는 ((23.4 + ㄴ + 1.5 +1.8) / 1000) X 100 이죠. 

ㄹ. 염분비 일정 법칙에서 해수마다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같다는 것이죠. 왜 그럴까요? 해수는 한 지역에만 있는 것이라 아니라, 오래 시간 동안 순환하면서 서로 섞이기 때문이죠^^

 

그럼 답은 직접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