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물질 변화와 화학반응식

오늘부터는 중3 과학 목차대로 이론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중3 과학 목차는 1단원은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2단원은 기권과 날씨, 3단원은 운동과 에너지, 4단원은 자극과 반응, 5단원은 생식과 유전, 6단원은 에너지 전환과 보존, 7단원은 별과 우주, 8단원은 과학기술과 인류문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단원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누면 1단원은 화학, 3과 6단원은 물리, 4와 5단원은 생명과학, 2와 7단원은 지구과학으로 구성되어 있죠. 8단원은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응용이 되었는가에 대한 짧은 단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1단원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입니다. 1단원에는 총 세가지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물질변화와 화학반응식, 두 번째는 질량보존 법치, 일정성분비 법칙, 기체반응 법칙, 세 번째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 출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물질변화와 화학반응식 -


1. 물질변화(물리변화와 화학변화)

 

물질변화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고 보시면 되는데,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입니다.

 

- 물리변화-

 

물리변화(반응)는 반응이 일어날 때 물질의 성질이 안 변하는 반응으로, 예를 들면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죠(융해). 이때 얼음과 물의 성질이 다른가요? 또 컵이 떨어져서 깨졌다고 컵의 성질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이처럼 물리 변화는 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 전과 반응 후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변화를 말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죠. 물이 끓어서 수증기가 된다. 종이가 찢어진다. 아이스크림이 녹았다. 소금이 물에 녹는다 등등....

 

- 화학반응 -

 

화학변화(반응)는 반응이 일어날 때 성질이 변하는 반응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철이 녹슨다(산화)에서 철이 녹스기 전까 녹슨 후 색이 변합니다. 처음에는 순수하게 철원자만 있다가 공기 중에 오래 있으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녹슨 철)이 됩니다. 그럼, 성질이 같을까요? 아니에요. 전혀 달라집니다. 사과 껍질을 벗기고 가만히 놔두면 사과 색이 변하죠. 이것도 화학반응이고, 김치가 익으면 신김치가 되는데 이것도 화학반응입니다. 이처럼 반응 전과 반응 후 성질이 달라지는 반응을 화학반응이라고 보면 됩니다. 화학반응의 특징은 4가지 정도 있는데, 반응 시 빛과 열이 발생한다. 기체가 발생한다. 앙금이 생성된다. 색이나 맛이 변한다.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질변화 예 - 네이버 참조

 

혹시 달고나 좋아하시나요?? 달고나도 물리변화와 화학변화 둘다 볼 수 있는데, 우선 설탕을 가열하면 고체 설탕입자가 녹으면서 액체 설탕이 돼요. 고체 설탕이나 액체 설탕이나 맛을 달죠. (물리 변화), 어느 정도 녹으면 탄산수소나트륨(식소다)을 넣어주면 액체가 부풀어 오릅니다. 이것은 탄산수소 나트륨이 열에 의해서 분해가 되면서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져요. 그래서 액체가 부풀어 오른 것이에요. 뭐가 화학 변화일까요? 바로 탄산수소 나트륨이 분해가 되는 것은 화학반응이죠.
조금 이해가 되었나요?

 


그럼 간단한 문제로 마무리 할께요^^

모 중학교 기출문제

정답은 몇 번일까요?? 한번 찾아보세요^^ 정답은 댓글에 있어요~~

2. 화학반응식 

화학반응식은 반응물과 생성물을 원소기호로 나타낸 식을 말합니다. 화학식에는 실험식, 분자식, 구조식, 시성식 이렇게 4가지 있는데, 중학교에서는 분자식만 봐요. 분자식이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개수를 원소 기호로 나타낸 식을 말합니다. H2, O2, HCl, H2O등 있습니다. 분자식을 잠깐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2는 총 분자수, 3은 수소의 개수, 빈 원은 1이다. 1은 보통 생략한다.

 

- 화학반응식 작성 규칙성 -

 

화학반응식을 작성할 때는 규칙이 있습니다.
1. 화살표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반응하는 물질, 오른쪽에는 생성되는 물질로 적습니다.
2. 반응하는 물질과 생성되는 물질을 원소기호로 표시합니다.
3. 원소기호로 표시한 후 반응하는 물질의 원자의 종류와 개수는 생성되는 물질의 원자의 종류와 개수와 항상 같아야 합니다.

화학반응식 나타내는 방법 - 네이버 참조

 

중학교에서는 3단계까지만 하면 되고, 고등학교 화학 1에서는 반응물질(반응물)과 생성물질(생성물)의 상태(고체, 액체, 기체, 수용액상태)까지 표시를 합니다. 여기는 중학교이니 3단계까지만 할게요.


예를 들면, 질소분자와 수소분자 결합하면 암모니아 분자를 만들어요. 이를 화학반응식으로 표시하면
1. 질소 분자 + 수소 분자 -> 암모니아
2. N2(질소 분자) + H2(수소 분자) -> NH3(암모니아 분자)
3. N2 + 3H2 -> 2NH3 (왼쪽과 오른쪽의 원자의 종류와 개수는 같아야 합니다. 만약 다르면 화학반응식이 틀렸다고 보시면 돼요....)

 


이해가 되시나요???
그럼 문제를 볼까요?

모 중학교 기출문제

화학반응식에서 질량은 원자의 개수로 보시면 됩니다. 질소와 수소가 만나서 암모니아를 만드는 화학반응식에서 화살표 왼쪽에는 질소가 2개 있고, 오른쪽에도 질소는 2개 있습니다. 수소는 왼쪽에 6개, 오른쪽에도 6개 있습니다. 따라서 왼쪽(반응물)과 오른쪽(생성물)의 질량은 같다는 것 알 수 있습니다.

정답은 댓글에 있습니다.^^

중학교 3학년 과학 1단원에 있는 첫 번째 중단원을 했습니다. 두 번째 중단원은 이미 작성을 했으니까, 다음에는 세 번째 중단원을 하도록 할게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2023.03.17 - [중등과학문제풀이] - 중3 1단원 질량보존 법칙, 일정성분비 법칙 (1)

 

중3 1단원 질량보존 법칙, 일정성분비 법칙 (1)

질량보존 법칙 질량보존 법칙은 1772년 프랑스의 화학자 라부아지에가 발표한 법칙입니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 전 물질의 질량과 반응 후 물질의 질량이 같다는 것이죠. 그럼 왜 질량은

kblue77.tistory.com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구독 클릭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