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 5월, 우리 댕냥이 더 똑똑하게 챙기자! 놓치면 후회할 반려인 필수 정책 집중 분석! (제주 거주 꿀팁 포함!) 본문

소식

🐾 5월, 우리 댕냥이 더 똑똑하게 챙기자! 놓치면 후회할 반려인 필수 정책 집중 분석! (제주 거주 꿀팁 포함!)

나의 보물들^^ 2025. 5. 12. 11:09

제주도의 푸른 밤, 아메리카노입니다. 따뜻한 햇살과 함께 싱그러운 5월이 찾아왔습니다.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산책길도 더욱 즐거워지는 계절인데요. 하지만 즐거움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반려인으로서 알아야 할 정책과 의무입니다.

오늘은 5월에 반려인이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정책들을 블로그 스타일로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릴게요. 놓치면 과태료 폭탄을 맞을 수도 있으니, 지금부터 두 눈 크게 뜨고 확인해 주세요!

 

반려견

 

 

🔔 기간 한정! 반려견 동물등록 자진신고 놓치지 마세요 (~6월 30일)

혹시 아직 반려견 등록을 안 하셨거나, 등록 정보가 변경되었는데 신고를 못 하신 분들 계신가요? 그렇다면 지금이 바로 절호의 기회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반려견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합니다.

 

 

 

 

 

 

 

이 기간 동안 자진 신고하면 무려 과태료가 면제된다는 사실! 아직 등록하지 않은 댕댕이 보호자님들, 이 기회 절대 놓치지 마세요! 이사나 연락처 변경 등 기존 등록 정보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과태료 없이 수정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가까운 동물병원 등 동물등록 대행기관을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www.animal.go.kr

 

우리 댕댕이의 안전을 위해서, 그리고 혹시 모를 불이익을 예방하기 위해서 지금 바로 동물등록을 완료하세요!

 

 

 

 

 

 

 

💉 우리 아이 건강 지키기! 봄철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지역 확인 필수!)

따뜻한 봄이 되면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광견병 발생 위험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봄철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주시에 거주하시는 반려인 여러분도 예외는 아니겠죠? 🐕🐈

 

지원대상

생후 3개월 이상의 건강한 개와 고양이 (지역별로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지원내용

지정된 동물병원에서 광견병 예방접종 시, 접종 비용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호자는 소정의 시술료만 부담하면 됩니다.

 

확인 방법

  • 제주시청 홈페이지: 관련 공지사항을 확인해 보세요.
  • 제주시 동물보호 관련 부서: 전화 또는 방문 문의
  • 지역 동물병원: 참여 여부 및 기간 문의

 

제주시 동물보호 관련부서 연락처 및 주소

제주시의 동물보호 관련 부서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주시청 축산과: 064-728-3414 (동물 분실 신고 접수)
  • 유기동물 구조·포획팀: 010-2929-4114 (유기동물 및 일실 가축 구조·포획)
  • 제주동물보호센터: 064-710-4065~7 (유기동물 관리 및 분양 문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동길 184-14 (용강동)

 

광견병은 치사율이 매우 높은 무서운 질병입니다. 사랑하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 그리고 주변의 안전을 위해 예방접종은 필수입니다! 지자체 지원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 더 안전한 펫티켓! 강화된 반려동물 안전관리 의무, 이제는 필수입니다!

작년 4월 27일부터 시행된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반려동물 안전관리 의무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제는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은 절대 금물!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반려 생활을 위해 펫티켓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핵심 내용 다시 한번 체크!!!

  • 자유로운 배회 금지: 이제 맹견뿐만 아니라 모든 반려견이 보호자 없이 집을 벗어나 배회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 외출 시 필수품: 산책 시에는 반드시 목줄 또는 가슴줄(2미터 이내)을 착용해야 하며, 필요시 이동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강아지 외출 시 필수품 목줄
반려견은 목줄 꼭 하고 다녀요~~

 

  • 공공장소 에티켓: 건물 내부 공용 공간(엘리베이터, 복도 등)에서는 반려견을 안거나 목줄의 목덜미 부분을 잡는 등 이동을 제한해야 합니다. (적용 범위 확대!)

강화된 의무를 위반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성숙한 반려 문화 정착을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해야겠죠?

 

📢 제주 반려인을 위한 꿀팁! 지역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위에 언급된 전국적인 정책 외에도, 제주특별자치도나 제주시 차원에서 시행되는 반려동물 관련 지원 정책이나 조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놀이터 운영,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이 있을 수 있으니, 제주시청 홈페이지나 동물보호 관련 부서를 꾸준히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하며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삶은 큰 행복이지만, 그만큼 책임감도 따릅니다. 5월에는 더욱 관심을 가지고 관련 정책들을 확인하여, 우리 모두 성숙하고 행복한 반려 문화를 만들어가도록 노력합시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제주에서 반려동물과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