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기권 (2)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기권, 습도,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문제입니다.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 기권에 대한 설명이네요. 기권이라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공기가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대기권이라고도 하죠. 기권은 지표면에서 1000km 상공까지를 기권이라고 하죠. 우리가 마시는 공기의 99%는 질소와 산소이고, 아르곤, 이산화탄소, 수증기등 기타 물질이 1% 있습니다. 그럼 정답 보이시나요??? 두 번째 문제 문제풀이 기권은 총 4개의 권으로 나누는데, 기준은 높이에 따른 기온 분포입니다. 그림에서 A는 대류권, B는 성층권, C는 중간권, D는 열권으로 구성됩니다. 각각의 권은 이론 편에 있으니까 기억이 안 나거나 모르면 한번 읽어보세요^^ 보기를 볼까요?? ㄱ. 오존층은 C에 존재한다. -오존층을 성층권에 존..

오늘은 중3 과학 2단원 대기에 대한 문제를 올려봅니다.^^ 대기권이란? 대기권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지표면에서 1000km까지를 대기권이라고 합니다. 지표면에서 10km까지를 대류권, 10~50km 성층권, 50~80km 중간권, 80km 이상을 열권이라고 합니다. 각 권마다 특징이 있는데, 대류권에서는 아래쪽에는 온도가 높고, 위쪽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는 위로,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오는 대류현상, 그리고 모든 공기의 75%가 대류권에 있으므로, 기상현상(대류현상과 수증기가 있어야만 가능, 하나라도 없으면 기상현상 안 일어남)이 일어나고, 성층권에서는 대류현상이 아니라므로 안정한 층(비행기 항로로 사용됨)이면서, 오존층이 있어서 우주에서 오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역할, 중간권에서는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