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열 문제 (3)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날씨가 점점 추워지는데, 공부는 잘 되세요?? 특히 과학은 어렵다고 느끼고 학생도,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있겠죠? 어렵다고 생각하면 하나씩 하나씩 책의 내용 및 참고서 내용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시고,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자만에 빠질 수 있으니까, 문제를 꼼꼼하게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오늘은 8단원 열평형 문제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열평형이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두 물질의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을 말하죠. 참고로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즉,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합니다.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하면 온도가 높은 물질의 열이 온도가 낮은 물질 쪽으로 이동하게 되죠. 그러면 고온의 물체는 열을 잃고, 저온의 물체는 열..

비열 들어보셨죠?? 정의는 모르겠지만, 돌솥비빔밤을 먹을 때 밥공기나 일반 냄비에 비하여 식는 것이 느리죠? 왜일까요? 물체마다 비열이 다른데, 비열이 크면 물체의 온도는 천천히 올라가고, 천천히 내려가죠. 반대로 비열이 작으면 물체의 온도는 빨리 올라가고 빨리 내려가죠. 비열이라는 특성 때문인데요, 비열의 정의와 관련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열비열이란 어떤 물질 1k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kcal/kg·℃)이죠. 비열은 물질마다 다르기 때문에 물질의 특성입니다. 즉, 물질마다 비열이 다르다는 것이죠. 위 그림에서 물과 식용유에 같은 시간 같은 열을 주웠을 떄 온도변화가 다르겠죠? 바로 두 물질의 비열이 다르기 때문이죠. 비열 구하는 공식비열을 구하는 공식보다는 열량을 구하는 공식을 가..

중2과학 8단원 열과 우리 생활에 대한 이론을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는데요, 2학기 마지막 시험이니 마무리 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에는 이론보다는 문제풀이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8단원에서 비열과 열평형에 관한 계산문제 위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열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 질량의 비를 구하는 문제이죠. 비열의 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열량을 가지고 계산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열량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야겠죠? 열량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이죠. 온도변화는 마지막 온도에서 처음 온도를 뺀 값입니다. A의 질량은 a, B의 질량은 b이고, A와 B의 비열은 같죠.(같은 물질이므로) 온도 변화는 같은 시간 동안에서 온도 변화를 봐야 해요. 4분일 때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