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절대 등급 (4)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3 기말고사가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이네요. 준비는 잘하고 계신가요?? 네이버 지식인 또는 주변에 별 단원중 어렵다고 하는 부분이 있어서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문제로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어느 별이 움직였을까요??? 보이시나요?? 문제에서 별 B는 움직이지 않았다고 하니까, 별 A가 움직였다는 것 알 수 있고, 별 B는 움직이지 않았으므로 배경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시차는 어떻게 될까요? 시차는 지구가 1년 동안 별을 봤을 때 각이죠? 그럼 가와 나의 합이 시차가 됩니다. 계산을 하면 0.1초가 되네요. 그럼 연주시차는 시차의 1/2 이므로 0.05초가 됩니다. 그럼 별 B의 연주시차는 얼마일까요?? 0이죠. 왜..

날씨가 추워지고 있네요~~ 그럼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오늘은 별의 등급인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에 관한 문제입니다.^^ 문제풀이ㄱ. 지구에서 거리가 가장 가까운 별은 B이다.- 지구에서 거리가 가까운지 먼지는 겉보기 등급 - 절대 등급을 뺀 값이 작을수록 지구에서 가깝고, 클수록 멀리 있는 별입니다. 그럼, A부터 F까지 직접 계산해 보면 금방 답이 보이죠~~A는 0, B는 -20, C는 0, D는 10, E는 0, F는 20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별은 B이고 가장 멀리 있는 별은 F가 되네요. ㄴ. 실제 밝기가 가장 밝은 별은 F이다.- 실제 밝기는 겉보기 등급이 아닌 절대 등급으로 비교를 합니다.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이 10pc에 있다고 했을 때 밝기이죠, 모든 별이 같은 위치에 있다고..

밤에 하늘을 보면 별이 보이죠? 근데, 어떤 별은 밝게 보이지만, 어둡게 보이는 별도 있습니다. 이것은 별마다 가지고 있는 밝기가 다르기 때문이죠. 별의 밝기를 등급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별의 등급을 가장 먼저 적용한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입니다. 고대 그리스시대와 지금의 기술력을 비교하기에는 힘들겠지만 , 히파르코스는 사람의 눈으로 별의 밝기를 이야기 했는데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운 별을 6등성이라고 했죠. 지금은 등성보다는 등급을 사용하지만, 비슷한 의미라고 보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히파르코스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1등성보다 조금 어두운 별을 2등성.... 이렇게 하여 6등성까지 매겼다고 합니다. 그럼 등성마다 ..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은 바로 등급입니다. 등급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겉보기 등급, 또 하나는 절대등급입니다. 이번에는 겉보기 등급과 절대등급, 별의 표면온도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별의 등급이란 별의 등급에는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이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서 하나씩 볼까요? 겉보기 등급 겉보기 등급은 겉으로 보이는 등급입니다. 지구에서 별을 볼 때 실제로 밝은 별이라도 거리에 따라서 밝기가 다르게 보이겠죠? 지구에서 눈으로 볼 때 밝기를 겉보기 등급이라고 합니다. 겉보기 등급은 실제 별의 밝기는 아니라는 것~~ - 겉보기 등급이 작을수록 우리 눈에는 밝게 보이는 별입니다. - 실제 별까지 거리는 생각하지 않고 본 밝기라는 것 절대 등급 별의 거리는 다양하겠죠? 그렇기 때문에 절대 등급은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