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60)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1단원 마지막입니다. 단원별 순서는 분자를 정리하면서 분자식, 그리고 이온과 이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나와 있는데, 저는 조금 다르게 이온과 분자, 그리고 이온 확인방법으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 화학식 - 화학식이란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들을 기호나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든 물질을 표현하는 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왜 화학식을 사용할까요? 화학식은 공통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국어를 사용하죠. 다른 나라에서는 한국어가 아닌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독일어등 정말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한 물질을 표현하는 데 여러 나라의 언어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소통이 될까요? 안 되겠죠? 그래서 공통의 언어인 화학식을 사용합니다. 화학식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실험식, ..

우리는 의사소통을 할 때 언어를 사용하죠. 그런데,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 의사소통하는데 큰 불편함을 없죠, 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많이 불편하겠죠? 원소라는 것은 물질을 표현하는 기호이면서 약속이고, 규칙이죠. 오래전부터 원소를 사용하는데 그림이나 기호를 통해서 많이 사용했습니다. - 원소 기호 변천사 - - 중세시대 : 중세시대에는 연금술이 많은 활약을 했죠. 당시 연금술사들은 원소를 그림으로 표현을 했습니다. - 근대시대 : 근대에 와서 돌턴이라는 화학자가 원과 기호로 원소기호를 표현을 했습니다. 그런데, 원소들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원소기호가 점점 복잡해지고, 기억하기도 쉽지는 않았죠. - 현재: 원소의 알파벳을 이용하여 기호를 사용하고 있죠. 이 방법은 ..

2023.03.26 - [중등과학문제풀이/중2 과학 이론] - 1단원- 원자와 분자 (1) 1단원- 원자와 분자 (1)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원자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언제부터일까요? 지금이 21세기이죠? 입자가 원자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17세기 이에요. 약 400년 정도 되었네요. 생 kblue77.tistory.com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2) - - 분자 - 분자란 물질의 성질을 지닌 가장 작은 입자를 말합니다. 원자와 마찬가지로 입자이기 때문에 셀 수 있습니다. 보통 분자라고 하면 두 개의 이상의 원자가 모여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 한 개 로만 이루어진 분자도 있습니다. (참고 3학년때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해서 배우게 되는데요, 물리변화는 1학년..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원자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언제부터일까요? 지금이 21세기이죠? 입자가 원자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17세기 이에요. 약 400년 정도 되었네요. 생각보다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 - 입자설 VS 연속설 - 물질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일까? 물질관에 대해서 이미 설명을 했는데, 고대 시대때 물질의 구성을 두고 두 학자가 열띤 토론을 했습니다 데모크리토스의 '입자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속설' 이죠. 입자설은 "물질을 계속 쪼개면 언젠가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입자와 입자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는 것"이고, 연속설은 "물질을 계속 쪼개면 무한히 쪼개면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빈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는 것이..

원소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으로, 수소나 산소처럼 다른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다. 원소는 종류에 따라 성질이 다르며, 화학 변화가 일어나도 원소는 변하지 않는다. 현재까지 알려진 원소는 118가지이며, 이 중 자연에서 발견된 원소는 90여가지이고 나머지는 인공적으로 만든 원소이다. 원소는 수소, 산소, 탄소, 질소, 헬륨등의 비금속원소와 철, 나트륨, 마그네슘등의 금속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원소들이 모여서 물질을 이루는데, 일반적으로 물질은 여러 가지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헬륨, 아르곤, 네온처럼 한 종류의 원소로만 이루어진 물질도 있다. - 원자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할께요^^ 원소 이름 기호 원소 이름 기호 수소 H 마그네슘 Mg 헬륨 He 붕소 ..

중3 과학 1학기를 끝났고,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중2 과학도 시작을 해봐야 하겠죠?? 중2 과학은 1, 2학기에 총 8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원은 물질의 구성으로 물질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단원이고, 2단원은 전기와 자기로,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전류, 전압, 저항 그리고 전자기장에 대해서 배우는 단원입니다. 3단원은, 태양계로 지구가 자전 및 공전하면서 생기는 현상, 지구 외 7개의 행성, 달에 대해서 배우는 단원입니다. 4단원은 식물과 에너지로, 광합성과 호흡에 대해서 배우는 단원입니다. 그 외 나머지 단원은 2학기에 배우니까, 1학기 부분이 끝나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1단원 출발을 해 볼까요??? 여러분들은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