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등과학문제/중3 과학이론 (50)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오늘은 중3 과학 1단원에 마지막 파트인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 출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화학반응시 에너지 출입 -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 출입(이동)은 두 가지 있습니다.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입니다. 단어가 생소할 수 있는데, 간단하게 보시면 됩니다. -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이란? - 발열반응은 열이 발생하는 반응이고, 흡열반응은 열을 흡수하는 반응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무언가를 연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열이 나오죠. 이처럼 열이 나오는 반응을 발열 반응이라고 합니다. 즉, 주변으로 열을 보내는 반응이죠. 우리가 목욕을 하고 나오면 춥다는 느낌이 들죠. 왜? 제 몸에 묻어 있는 물이 공기 중으로 증발이 되는데, 물이 수증기가 되려면 열이 필요하죠? 제 몸의 열을 빼앗아 물을 수..

오늘부터는 중3 과학 목차대로 이론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중3 과학 목차는 1단원은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2단원은 기권과 날씨, 3단원은 운동과 에너지, 4단원은 자극과 반응, 5단원은 생식과 유전, 6단원은 에너지 전환과 보존, 7단원은 별과 우주, 8단원은 과학기술과 인류문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단원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누면 1단원은 화학, 3과 6단원은 물리, 4와 5단원은 생명과학, 2와 7단원은 지구과학으로 구성되어 있죠. 8단원은 실생활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응용이 되었는가에 대한 짧은 단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1단원 화학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입니다. 1단원에는 총 세가지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물질변화와 화학반응식, 두 ..

안녕하세요. 며칠 동안 글을 하나도 못 올렸네요~~ 머리가 아픈 관계로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중3 물리파트인 역학적 에너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이 파트는 공식이 있어서 대입만 하면 될 것 같지만, 공식을 달달 외우는 것보다는 이론을 좀 더 숙지하고 문제를 보면 더 좋을 것 같아서 이론에 대해서 올립니다. 역학적 에너지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을 말한다. 우리가 공을 하늘위로 던지면 공이 점점 올라가기 때문에 위치에너지는 증가하지만 속력은 점점 느려지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감소하죠. 반대로 공이 아래로 내려올 때는 높이는 점점 낮아지므로 위치에너지는 감소하고, 속력은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증가하죠.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에서 나왔는데, 공이 올라가면 운동에너..

안녕하세요^^ 23년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5일이네요~~ 새해부터 전 다이나믹한 삶을 보내고 있네요 ㅋㅋㅋ 다들 행복하게 보내세요^^ 오늘은 에너지와 일의 전환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할게요^^ 어제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위치에너지는 높은 곳에 있는 물체가 가지는 에너지이고, 운동에너지는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에너지이죠. 어제 이야기를 했으니 알고 계시죠?? ㅋㅋ 에너지와 일은 전환이 됩니다. 전환 서로 변한다는 뜻이잖아요. 에너지가 일로 또는 일이 에너지로 이렇게 바뀐다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제가 물건을 선반 위에 놓으려고 물건을 들고 이동을 하면, 제가 물건에게 일을 했죠. 그리고 물건이 선반위에 놓으면 물건은 높은 곳에 있으니 위치에너지를 가지고 되요...

안녕하세요^^날씨가 풀린 것 같아요~~ 하지만, 일교차가 있으니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은 중학교 3학년 에너지에 대하여 적어볼게요~~중학교 3학년 물리파트에서 에너지에 대하여 배우는데, 에너지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그리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 하나이잖아요~~ 보통 에너지 하면 힘이라고 생각하시죠?? 여러분은 언제 에너지라는 말을 사용하시나요?? 밥을 안 먹어서 에너지가 없네.. 이렇게 사용도 하시는데,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과학에서 에너지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에너지라고 합니다. 에너지에는 여러 가지가 있죠.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 역학적 에너지, 전기에너지, 빛에너지, 바람에너지, 핵에너지 등등 등 정말로 많아요~~ 그럼 중학교에서 이 많은 에너지를 다 배우나요?? 아..

안녕하세요^^ 오늘 과학에서 일에 대해서 포스팅했는데, 물체를 미는 일 즉, 마찰력에 대한 일에서만 포스팅을 해서, 중력에 대한 일을 안 적어서 이렇게 급하게 포스팅합니다. 과학에서 일은 물체에 힘을 가할 때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일이라고 했잖아요. 미는 것 말고 다른 것 없을까요? 우리가 물체를 들어 올리는 경우도 과학에서 일입니다. 물체를 들어 올릴 때 힘을 줘야 하고, 힘을 주면 물체는 힘을 준 방향으로 올라가죠. 따라서 들어올릴 때도 일로 봅니다. 그럼 일을 어떻게 구할까요? 일 = 물체에 가한 힘 X 물체가 이동한 거리 이잖아요. 중력에 대한 일에서 힘은 물체의 무게가 됩니다. 왜? 내가 물체를 들기 위해서는 최소한 물체의 무게만큼의 힘을 줘야 하니까요, 두 번째 이동거리는 물체가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