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553)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안녕하세요. 망원경에 대해서 포스팅 하다보니 벌써 다섯 번째 이네요. 오늘은 우주망원경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려고 합니다. 알쓸인잡에서 천문학자인 심채경 박사님이 허블우주망원경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 퍼시비어런스에 탑재한 드론헬기의 책임자인 미미 아웅 박사를 이야기 했어요. 전 미미 아웅 박사말고 사람들이 우주에 대해서 알고 싶었지만, 지구안에서 우주에 대해서 탐구하기는 매우 어렵겠죠. 특히 우주에서 오는 많은 전파들이 들어오지만, 대기권를 통과하는 것 극히 일부라서 파장이 긴 전파나 극적외선 파장정도라서 우주에 탐구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죠. 그래서 한 천문학자가 망원경을 우주에 보내서 측정하면 좋을텐데... 라는 제안을 했지만, 아무도 관심을 주지 않았고, 허무맹랑한 소리로 치부했죠. 제가 천문학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망원경 네 번째 시간으로 전파망원경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망원경에 대한 역사 및 광학망원경의 종류, 사용하는 곳, 광학망원경에서 사용하는 거울과 렌즈에 대해서 간략하게 봤는데, 이번에는 특수망원경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지상에서는 감마선에서부터 전파까지 다양한 전자파가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오지만, 지구의 대기권의 영향으로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 가시광선, 근적외선, 전파 일부이다. 그러다 보니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 그러다 보니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라이먼 스피처가 우주에 망원경을 보내자는 제안을 하였다. 많은 사람이 스피처가 제안한 이야기를 듣고 웃거나,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다들 황당무계한 생각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90년 4월에 미 항공우주국(N..

안녕하세요. 망원경 세 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에는 전파망원경에 대하여 작성할 예정인데, 이 글을 중학생들이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망원경을 배우기 전 렌즈와 거울에 대해서 과학시간에 배우죠??? 그래서 렌즈와 거울에 대하여 먼저 언급하고 전파망원경에 대해서 포스팅 할께요. 우선, 굴절망원경에는 렌즈가 들어가는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이죠. 반사망원경에는 오목거울과 볼록렌즈가 들어가는데, 그럼 왜 들어갈까??? 고민 해보적 있나요?? 렌즈와 거울은 빛을 굴절시키거나, 반사하는 도구입니다. 거울부터 볼께요. 거울에는 크게 평면거울과 볼록거울, 오목거울이 있어요. 평면거울은 물체와 상의 크기에는 변함이 없고, 단지 우리가 보는 상의 좌우만 바뀌는 거울을 말합니다. 그럼,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바로 전신거..

오늘은 망원경 두번째 입니다. 망원경은 크게 광학망원경과 전파망원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광학망원경은 렌즈나 거울을 가지고 만든 망원경이고, 전파망원경은 전파를 보내서 돌아오는 전파를 받거나, 우주나 지상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하는 망원경입니다. 광학망원경에는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이 있다. 둘다 가시광선의 양을 모으는 망원경이다. 다른 점이 여러개 있겠지만, 가장 큰 특징은 굴절망원경은 대물렌즈, 접안렌즈 둘다 렌즈를 사용하지만, 반사망원경은 대물렌즈는 오목거울이고, 접안렌즈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굴절망원경도 갈릴레이식 망원경과 케플러식 망원경이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갈릴레이식 망원경에서 대물렌즈는 볼록렌즈, 접안렌즈는 오목렌즈이고, 케플러식 망원경에서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둘..

요즘 알쓸인잡에서 천문학자인 심채경 박사가 퍼시비어런스호에 탑재된 드론(인지뉴어티)를 담당하는 박사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보셨나요??? 전 초반에 잠깐 봤는데, 은근 재미가 있어서 보다가 아이들 때문에 더 못봤어요... 그래서 오늘은 우주를 볼 수 있는 망원경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려고 합니다. 망원경이 무엇인지 다들 아시죠???? 아주 멀리 있는 물체를 볼 수 도구로 안경생산업자인 한스 리페세이(그림)가 만들었다고 합니다. 17세기 초 네덜란드의 안경를 제작하는 한스 리퍼세이는 렌즈를 닦는 솜씨를 보기 위해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각각 한 개씩 들고 주변에 있는 교회 탑을 쳐다보다가 깜짝 놀랐다. 볼록렌즈를 앞에 두고, 오목렌즈를 뒤에 놓고, 조금씩 떼어서 보았더니 탑이 놀랄 만큼 크게 보였던 것이다. ..

동양의 별자리 들어본 적 있나요??? 보통 많은 분들이 그런게 있어?? 라고도 하는데, 있습니다. 동양의 별자리는 3원 28수라도 하는데,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보시면 하늘의 3개의 원과, 동서남북으로 28개의 별자리가 있는데, 이를 동양의 별자리라고 하고, 동서남북에는 4개의 사신이 지키고 있고, 4개의 사신을 이루고 있는 별이 7개씩 그래서 28개의 별자리라고 하죠. 저는 동양의 별자리에서 28수에 대표 별자리만 이야기할께요. 우선, 동방칠수부터 보도록 할께요. 이 그림은 어느 박물관에 전시된 내용인데, 동방칠수라 검색을 해보면 검색마다 그림이 달라서 그나마 청룡에 가까운 그림을 찾아서 올립니다. 청룡은 동쪽에 있는 일곱개의 별자리를 이어서 이미지화 했다고 보면 된다. 일곱개의 별자리는 각(용의 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