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국민 내일배움카드 지원 한도 ,지원 내용, 지원 자격, 신청방법 본문
누구에게나 꿈이나 소망이 있습니다. 본인이 미래에 무엇을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면 말이지요. 하지만, 특별한 목표가 없거나 애매한 상황에 놓였다면 당신의 꿈을 포기하겠습니까?? 나라에서 지원하는 정책을 활용해서 도움을 얻었으면 합니다. 다양한 기회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국민 내일배움카드 지원한도, 지원 내용, 지원자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원 한도 -
국민 내일배움카드는 종전 지원한도가 200 ~ 300만원 이었습니다. 지원한도가 초과 시 자부담으로 교육을 받아야 했는데요, 올해부터 지원한도 300 ~ 500만원으로 상향이 되었습니다. 지원 범위 내에서 훈련비의 45~85%까지는 국비 지원이므로 최소한의 자비 부담으로 원하는 훈련에 참여해 보세요^^ (300만 원의 계좌를 모두 소진한 경우, 일부 대상자에게는 100 ~ 200만 원의 추가지원)
훈련비 지원율 | 추가 지원 대상자 | |
일반 참여자 | 45 ~ 85% | 기간제, 파견, 단시간, 일용근로장로 재직중인 피보험자 |
국민취업제도1유형과 2유형(특정계층) | 80 ~ 100% | 우선지원대상기업에 재직 중인 피보험자 |
국민취업제도2유형(청, 중장년층) | 50 ~ 85% |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 |
근로장려금 수급자 | 72.5 ~ 92.5% | 당해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인자 (200만원) |
훈련 장려금은 총 140시간 이상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실업자, 저소득 재직자등에게 월 최대 11만 원 6천 원을 지급합니다. (단, 단위 기간 출석률 80% 이상시에만)
- 지원 내용 -
구분(참여자 유형) | 140시간 미만 훈련과정 | 140시간 이상 훈련과정 |
실업자 | 미지급 | 월 최대 11만 6천 원 |
국민취업제도1유형 및 2유형중 저소득층(특정계층 포함) |
월 최대 11만 6천 원 | 월 최대 11만 6천 원 |
국민취업제도 2 유형중 청년 및 중장년(실업자) | 미지급 | 월 최대 11만 6천 원 |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 | 미지급 | 미지급 |
주15시간 미만 근로자 | 미지급 | 월 최대 11만 6천 원 |
근로장려금(ETC) 수급자 | 미지급 | 월 최대 11만 6천 원 |
고용보험 임의가입 자영업자 | 일 최대 1만 8천 원 | 일 최대 1만 8천 원 |
- 지원 자격 -
국민 내일 배움카드는 훈련을 희망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단, 일부 대상 제외)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 시행령' 개정시행으로 국민 내일배움카드의 지원 자격이 확대가 되었습니다.
카드 발급 대상이 대학생 중 '졸업예정자'에서 대학교 3학년으로 개정이 되었고, '졸업까지 수업연한이 2년 이내'인 대학 및 대학원생도 국민 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제외 대상 - 현직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만 75세 이상인 자, 졸업까지 남은 수업연한이 2년 초과하는 대학 및 대학원생, 연 매출 1억 5천만 원 이상의 자영업자, 월 임금 300만 원 이상인 대규모 기업 종사자(45세 미만) 및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생계급여 수급자, 기타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는 자
- 신청방법 -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은 쉽고 간편하게 하는 방법은 HRD - NET 에 접속하시면 되는데요~~
회원 가입를 하고난 뒤 발급신청을 눌러서 순서대로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이때 구직자 그리고 근로자 선택란이 있는데 본인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인터넷으로 접속하시면 저런 메뉴가 보여요~~ 저기서 발급신청을 누르시면 됩니다.^^
국민 내일배움카드 발급시간은 약 30분 정도면 가능합니다. 신청 안내 및 동의하고,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청자격 확인등으로 진행이 되는데, "난 잘 모르겠다." 생각하시면 집에서 가까운 고용플러스 센터로 방문하시면 상담을 통해서 진행이 되니 정말로 어렵지 않습니다.
카드를 발급받고, 자신이 원하는 훈련과목을 수강하면 훈련비 중 국비지원액은 발급받은 카드에서 차감이 되고, 훈련장려금은 요건 충족 시 월 단위로 지급합니다.
이상 국민 내일배움카드 지원한도, 지원내용, 지원자격, 발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대학을 나와도 자신이 원하는 공부 또는 일이 다를 수 있잖아요^^ 이럴 때 정부에서 주는 정책으로 커리어를 쌓는 것도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부터 달라지는 실업급여 정책(고용보험가입기간, 하한액등) (18) | 2023.04.29 |
---|---|
우회전 일시정지 아시나요? 몇초? 얼마나? (22) | 2023.04.26 |
임차인이 임대인의 미납 세금 열람제도 개선 (10) | 2023.04.06 |
깡통전세 사기, 감별하는 법, 안 당하는 법, 대처방안, 감별기 (22) | 2023.04.05 |
개인통관고유부호(번호) 발급 방법 (28)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