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2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풀이 본문
기말고사 시즌입니다. 준비는 잘하시고 계신가요?
기말고사 범위가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3단원과 4단원, 또는 전기장부터 시작을 하죠. 제가 가지고 온 기출문제는 전국의 학교 기출문제입니다. 한 번에 20문제이상 올리면 보는 것도 힘들고, 해설하는 저도 힘들어서~~ 10문제 내외로 쪼개서 해설하도록 하겠습니다.
해설을 읽어보시면 답이 보이는데, 그래도 답을 원하는 분들이 있으셔서 답지만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번 문제
문제풀이
지구의 둘레를 가장 먼저 측정한 사람은 에라토스테네스 이죠. 에레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기 위해 2가지 가정과 한 가지 원리를 이용했습니다.
가정 1.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가정 2.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어디서나 평행하다.
원리는 부채꼴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 가정과 원리를 이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였죠. 그 때 세운 비례식은 360° : 2πR = θ : l 이고, 비례식을 통해서 지구의 둘레가 약 46000km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구의 둘레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요~~
2번 문제
문제풀이
달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달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있는데요, 문제와 같이 삼각비를 이용한 방법과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부채꼴 호의 길이는 중심각 크기에 비례하다'를 이용한 방법이 있죠.
그림에서 작은 삼각형과 큰 삼각형이 있죠. 두 삼각형은 닮음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d : D = l : L 비례식이 성립하죠. 이 비례식에서 우리가 측정해야 할 것이 d, l이고, L는 우리가 알고 있어야 하는 값이어야 비례식을 통해서 달의 지름을 구할 수 있답니다.
3번 문제
문제풀이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죠. 자전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스스로 회전하는 것이고, 공전은 태양을 중심으로 일년에 한 바퀴씩 회전하는 것이죠.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자전의 증거는 다릅니다.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지구가 자전을 하지 않고 다른 천체가 회전을 해도 되는 것이고, 자전의 증거는 지구가 반드시 자전으로 해야만 일어나는 현상이죠.
자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태양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천체운동이 있어요. 천체에는 달, 별등 다 포함이 되죠.
보기에서 배가 들어올 때 배의 꼭대기부터 보이는 현상은 지구가 둥근 증거입니다.
4번 문제
문제풀이
황도 12궁은 일년에 한 번씩 태양이 별자리를 지나가죠. 이 때 지나가는 별자리를 황도12궁이라고 합니다. 그림을 어떻게 해석을 할까요?
지구가 ㄱ에 있다면 태양은 중심에 있죠. 하지만, 우리가 보기에는 태양은 물병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죠. 태양은 물병자리에 있으므로 물병자리의 별자리는 볼 수 없습니다. 그럼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자리는 사자자리가 되고요, 당연히 밤에만 볼 수 있겠죠?
또 하나, 지구가 ㄱ에 있다면 몇월일까요? 태양이 물병자리에 있으니까, 3월이라고 하면 됩니다. 지구가 9월에 있죠? 9월에 6을 빼면 태양이 있는 곳이라고 봐도 되요^^
태양이 황동을 지나갈 때 이동방향은 서에서 동입니다. 태양의 연주운동이라고 하는데요, 지구의 공전방향과 같아요^^
5번 문제
문제풀이
별의 일주운동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중 하나이죠. 하지만, 지구가 자전하지 않고 별이 이동을 해도 되기 때문에 겉보기 운동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별의 일주운동을 그림과 같아요^^
북쪽하늘에서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쪽하늘에서는 위로 올라가고, 남쪽하늘에서 동에서 서쪽으로, 서쪽하늘에서는 아래로 지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6번 문제
문제풀이
달은 약 한달에 지구를 한 바뀌씩 회전하죠. 달의 공전이라고 합니다. 달의 위치에 따라서 달의 모양이 달라지고, 이름도 달라지는데요, A를 상현, B는 망, C는 하현, D는 삭이라고 하죠.
달이 삭이 되면 달은 볼 수 없습니다. 왜? 달이 태양과 같이 뜨고 같이 지기 때문이죠. 그리고 망(보름)이 되면 달은 12시간동안 관찰이 가능합니다. 왜? 태양이 지는 오후 6시에 달이 뜨기 시작하고, 태양이 뜨는 아침 6시에 달은 지기 때문이죠. 이처럼 달이 뜨는 시간은 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보이는 시간도 다릅니다.
반달에는 상현달과 하현달이 있죠. 오른쪽이 채워지면 상현달, 왼쪽이 채워지면 하현달이라고 합니다.
7번 문제
문제풀이
태양계내 행성은 물리적인 특성에 따라서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하죠. 지구형 행성은 목성형 행성에 비해서 크기, 질량, 반지름등이 작고, 밀도는 큰 편이고, 무거운 대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고리가 없고, 위성의 수가 없거나 매우 적죠. 이런 지구형 행성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습니다.
목성형 행성의 특징은 지구형 행성의 반대이죠. 크기, 질량, 반지름은 크지만, 밀도는 작은 편이고, 가벼운 대기로 구성되어 있죠. 고리가 있고, 위성의 수가 대체로 많죠. 목성형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습니다.
보기에서 밀도가 가장 작다고 나와 있네요. 밀도가 작은 행성은 목성형 행성이고, 가장 행성은 바로 토성입니다. 아름다운 고리가 있고, 위성 수가 많은 편이죠^^
8번 문제
문제풀이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면서 지구 일부 지역에 태양이 안 보이는 현상이고, 월식은 지구가 태양을 가리면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들어와서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을 말하죠.
그림에서 A와 B에서 개기일식과 부분일식이 볼 수 있고요, D와 E에서는 개기월식과 부분월식이 볼 수 있습니다. C는 지구의 그림자안에는 들어왔지만, 밝기가 어둡다는 것을 느낄 수 없을만큼 미묘하기 때문에 월식이라고 하지는 않아요.
개기일식은 태양 전체를 가리는 현상이고, 부분일식은 부분만 가려지는 현상이죠. 그리고 개기월식은 달 전체가 가려지는 현상이고, 부분월식은 달의 일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입니다.
8문제를 풀이 했습니다.^^ 해설을 읽으면서 본인이 이해를 하셔야 다른 유형의 문제가 나와도 풀 수 있다는 것. 꼭 잊지마시고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중등과학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 2 (5) | 2023.06.24 |
---|---|
중3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6) | 2023.06.23 |
중3 운동에너지 관련 문제 (9) | 2023.06.18 |
중2과학 자기장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 문제풀이 (11) | 2023.06.14 |
중2과학 전류에 의한 자기장 (11)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