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3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본문

중등과학문제

중3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나의 보물들^^ 2023. 6. 23. 17:25

기말고사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준비는 잘하고 계신가요???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가 기말고사 기간인데요~~ 다들 원하는 성적을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기말고사 범위는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3단원과 4단원 또는 2단원 중반부터 4단원 중반까지 이렇게 되죠. 그래서 저는 2단원부터 4단원까지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풀이를 읽어보시면 답이 보이는데, 그래도 정답이 필요한 분이 있어서 정답만 따로 업로드하겠습니다. 

 

1번 문제

문제1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기온과 포화수증기량의 문제 이네요.

 

포화수증기량은 일정한 온도일 때 공기안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의 수증기량을 말합니다. 온도에 따라서 포화수증기량은 다르죠. 그리고 이슬점은 현재 수증기량을 의미하고, 이슬점 온도보다 낮으면 수증기는 응결하기 시작하여 구름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문제풀이
그림에서 B만 포화상태이고, 나머지는 불포화상태입니다.

 

그림에서 B는 곡선에 있죠. 그럼 포화상태이고, 나머지는 곡선 아래에 있으므로 불포화상태이죠. 그리고 노란색 점선 보이시죠? B, C, D에 들어 있는 현재 수증기량은 같죠. 현재 수증기량이 포화가 되는 온도가 이슬점이에요. 따라서 B, C, D의 이슬점이 같습니다.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 포화수증기량 X 100으로 포화곡선에 가까울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요. 그럼 B는 상대습도가 100%이고, A와 E를 비교를 해야 하죠. A = 27.1 /36.6 X 100, E = 7.6 /14.7 X100 비교를 해보면 습도가 어느 쪽이 높은지 알 수 있겠죠??

 

뚜껑이 열린 물을 E 상태에 놓으면 어떻게 될까요? E상태는 불포화 상태이죠. 따라서 컵에 있는 물이 증발이 되는데, 공기안에 수증기가 가득 채우게 되면 더 이상 증발은 일어나지 않게 되죠. 

 

2번 문제

문제2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이슬점은 노란색 점선입니다.)

 

문제풀이

3일동안 기온, 이슬점, 상대습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네요. 우선, A와 B는 맑은 날씨이죠. 왜? 기온과 습도가 반대이면서 이슬점이 변화가 별로 없죠. C는 흐린 날 또는 비가 오는 날입니다. 이슬점이 기온보다 높죠. 현재 공기 중의 수증기가 많다는 것이고, 수증기가 응결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맑은 날에는 이슬점의 변화가 별로 없죠. 그 이유는 바람이 불지 않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증기량의 변화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슬점은 기온보다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의 영향을 많이 받죠^^

 

 

3번 문제

문제3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구름을 만들어보는 장치이네요^^ 그림에서 가압 장치를 누르면 병안에 온도가 올라갑니다.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입자들이 모이게 되죠. 그러면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나처럼 뚜껑을 열게 되면 입자들이 밖으로 나가면서 압력이 감소하죠. 그러면 온도가 내려가면서 포화수증기량에 도달하여 이슬점이 되고, 이때부터 응결이 일어나서 구름이 생성되죠.

 

압력이 증가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단열 압축이라고 하고, 압력이 감소하여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단열팽창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구름이 생성될 때 향 같은 물질을 넣어주면 구름이 생성되기 조금은 쉽게 됩니다. 이런 물질을 응결핵이라고 합니다.^^

 

4번 문제

문제 4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토리챌리의 수은 기둥실험입니다. 토리챌리는 이 실험을 통해서 1기압일 때 수은기둥의 높이는 76cm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같은 기압일 때 수은기둥의 부피나 기울기에 관계없이 수은 기둥의 높이가 일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문제풀이
가)는 진공상태이고, h1=h2=76cm,  A = C = B

가)는 진공상태이고, 1기압이므로 수은기둥의 높이는 76cm이고, 수은기둥을 기울여도 높이는 같습니다. 왜 수은기둥 76cm가 1 기압의 압력일까요? A는 공기가 누른 압력이고, C는 수조 안에 있는 수은기둥이 공기를 떠 받치는 압력이고, B는 수은 기둥에서 압력이죠. 세 군데 압력이 다 같기 때문에 수은 기둥 76cm가 공기 1 압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압력이 작아지면 어떻게 될까요? 수은 기둥의 높이도 낮아지게 되고요, 압력이 크면 수은 기둥의 높이도 증가합니다.

 

 

5번 문제

문제 5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가)는 해륙풍이고, 나) 계절풍이네요~ 

문제풀이
가)는 해륙풍 중 육풍, 나)는 계절풍으로 북서계절풍입니다.

가)에서 지면에서 공기의 이동이 바다쪽이죠. 그럼 육풍이고 밤에 나타나죠. 나)는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바람이 부네요. 북서계절풍으로 겨울입니다.

 

바람은 공기가 많은 곳에서 적으로 이동을 하죠. 가)에서 A가 B보다 공기의 양이 많다는 것은 A는 하강기류, B는 상승기류이고, 온도는 B가 A보다 높기 때문에 상승기류가 나타나죠. 나)도 C에서는 하강기류, D에서는 상승기류이고, D의 온도가 C보다 높기 때문에 D에서 상승기류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상승기류는 저기압이고, 하강기류가 고기압이죠.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시계방향으로 불어 나가고, 저기압에서는 바람이 반시계반향으로 중심 쪽으로 들어갑니다.

 

구름은 상승기류에서만 일어나는 것 알고 계시죠??

 

6번 문제

문제6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가)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4개의 기단이네요. A는 시베리아 기단, B는 양쯔강 기단, C는 오호츠크해 기단, D는 북태평양 기단으로, 시베리아 기단은 한랭건조이고, 겨울에 오고, 양쯔강 기단은 온난건조이면서 봄과 가을에 옵니다. 오호츠크해 기단은 한랭다습이고, 초여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죠. 북태평양 기단은 고온다습이면서, 여름에 우리나라에 옵니다.

 

그래프에서 ㄱ은 한랭다습, ㄴ은 고온다습, ㄷ은 한랭건조, ㄹ은 고온(온난)건조입니다. 

 

 

7번 문제

문제 7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가)는 빙정설로 온대 및 한대지방(중위도 및 고위도 지방)에 내리는 강수이론이고, 나)는 병합설로 열대지방에 내리는 강수 이론입니다.

 

빙정설은 빙정(얼음알갱이)에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달라붙어 크기가 점점 커지다가 떨어지는데, 추운 지역에 떨어지면 눈이 되고, 따뜻한 지역에 떨어지면 비가 되죠. 참고로 빙정에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달라붙는 곳은 B지역입니다.

 

병합설은 크고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하여 점점 커지다가 떨어지면서 비가 되는 이론입니다.

 

8번 문제

문제8
모중학교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가)와 나) 모두 4초 간격을 찍은 사진이네요. 근데, 간격이 전부다 일정하죠. 따라서 가)와 나) 둘 다 속력이 일정한 직선운동(등속직선운동)이죠. 

 

속력 = 거리 / 시간 으로 구하죠. 가)는 24초 동안 60cm를 갔고, 나)는 12초 동안 60cm를 갔네요. 그럼 속력은 직접 계산해 보세요^^

 

가)와 나) 모두 2초 간격으로 찍었다면 , 4초일때4초일 때 속력보다 2배씩 빨라지지만, 가와 나의 두 물체의 속력변화가 4초일 때와 달라지지는 않죠^^

 

 

이상 8문제를 풀이를 했습니다.^^ 풀이를 보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드시기를 기원합니다.^^

 

1번부터 8번까지 정답.hwp
0.04MB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구독 사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