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2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 2 본문
1편에서 총 8문제를 풀이했습니다.^^ 이해가 되는지 궁금하군요^^
2023.06.23 - [중등과학문제] - 중2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풀이
중2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풀이
기말고사 시즌입니다. 준비는 잘하시고 계신가요? 기말고사 범위가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3단원과 4단원, 또는 전기장부터 시작을 하죠. 제가 가지고 온 기출문제는 전국의
kblue77.tistory.com
궁금한 부분은 댓글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9번 문제
문제풀이
음력 15일이면 보름달을 볼 수 있죠. 보름달은 저녁 6시에 동쪽에 떠서 자정에 가장 높은 곳에 있는데, 이때는 남쪽하늘에 있습니다. 그리고 아침 6시에 서쪽하늘로 지게 됩니다.
하현달은 음력 22~23일경에 자정에 동쪽하늘에 떠서 아침 6시에 남쪽하늘에 있죠. 하지만, 아침 6시가 되면 해가 뜨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볼 수 없습니다.
달의 위치가 매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정확하게는 달이 뜨는 시간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달도 태양과 같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데요, 뜨는 시간이 태양과 같으면 볼 수 없고, 태양보다 조금 늦게 뜨면 태양이 먼저 지고 나서 달이 보이게 됩니다. 그때 달의 위치는 서쪽이 되죠. 1 ~ 2일에는 달이 뜨는 시간이 태양과 같고, 날이 바뀔수록 태양보다 늦게 뜨게 됩니다. 상현달인 경우 7 ~ 8일있은데, 이때 달이 뜨는 시간은 정오(낮12시)에 뜨고, 저녁 6시에 남쪽하늘에서 볼 수 있죠. 그래서 우리가 달을 보면 점점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는 것 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10번 문제
문제풀이
A - 음력 7일이면 상현달입니다. 상현달은 정오(낮12시)에 동쪽에서 떠서 저녁 6시에 남중(남쪽하늘에 있을 때)하고, 자정에 서쪽으로 집니다.
B - 개기월식은 지구 그림자에 달이 들어가서 달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이 때 빛의 산란으로 인해서 붉게 보이는 현상이죠.
C - 개기 월식은 음력 15일경 보름일 때 나타납니다. 음력 1일경에 나타나는 현상은 개기일식입니다.
D - 개기 일식은 태양 앞에 달이 위치하여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완전히 가리면 개기 일식, 부분만 가리면 부분 일식이라고 합니다.
E - 개기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려지는 현상인데, 오른쪽부터 가려지기 시작합니다.
11번 문제
문제풀이
자전축이 거의 누운 채로 자전한다 - 천왕성
대기의 소용돌이인 대흑점이 나타난다. - 해왕성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 - 금성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진 극관 - 화성
태양계를 이루는 행성 중 가장 작고, 대기가 거의 없어 낮과 밤의 표면 온도차이가 매우 크다 - 수성
12번 문제
문제풀이
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성에 비해서, 크기나 질량이 크고, 고리가 있죠. 그리고 위성수가 많아요. 대신 단단한 표면이 없어서인지 밀도는 작고요, 가벼운 기체(수소, 헬륨등)로 이루어진 대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목성행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포함이 되죠. 태양과 거리가 멀리 있어서 때문에 공전 주기는 긴 편이나 자전 주기는 지구형 행성에 비해서 빠른 편입니다. 예를 들면 목성인 경우 자전 주기가 9시간 50분이죠. 그래서 목성에서는 빠른 자전속도로 인해 대적반(거대한 붉은 반점)이 나타납니다.
13번 문제
문제풀이
태양의 표면을 광구라고 합니다. 광구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흑점과 쌀알무늬이죠.
쌀알무늬 - 광구에 쌀알을 무수히 뿌려놓은 것 같은 무늬
흑점 - 주변보다 온도가 2000도 낮아서 검게 보이는 점
태양의 대기는 채층과 코로나가 있습니다.
채층 - 태양의 대기로, 붉은색을 띠고 있으면 아래 그림과 같아요.
코로나 - 태양 대기 수백 킬로미터까지 뻗은 진주색의 대기를 말합니다.
플레어 - 플레어는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폭발현상을 말합니다. 채층 일부가 매우 밝게 빛나는 현상이죠.
14번 문제
문제풀이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면 흑점의 수가 증가합니다. 보통 11년을 주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데요,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면 태양에서는 흑점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그리고 지구에 오는 태양풍의 세기가 강해져서 지구 자기장과의 마찰이 증가하여 지구에서는 무선통신 방해, 자기 폭풍이 발생하죠. 송전시설이 고장 나서 정전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 외 오로라가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상 6문제를 풀어봤습니다.^^ 이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중등과학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3 과학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2 (8) | 2023.06.29 |
---|---|
중2 과학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3 (8) | 2023.06.28 |
중3 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 풀이 (6) | 2023.06.23 |
중2과학 기말고사 대비 기출문제풀이 (7) | 2023.06.23 |
중3 운동에너지 관련 문제 (9)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