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2과학 3단원 태양계의 구성 - 태양 본문
3단원 마지막입니다. 다들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태양은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입니다. 그래서 항성(恒星, 항상 빛을 내는 천제)이라고 부르죠. 우주에는 수없이 많은 별이 있지만, 태양계에서는 유일하게 태양만 항성입니다. 가끔 달, 금성, 수성, 화성.... 별이라고 하죠. 엄밀하게 말하면 별은 아니에요. 특히 밤에 달빛 때문에 달도 별이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달이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은 아니고 태양의 빛을 반사시켜서 지구에 보내는 현상이지, 달이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 태양의 물리적 성질 -
태양는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에서는 수소핵융합이 일어나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습니다. 태양의 표면온도는 약 6000도이고, 중심온도는 12000도로 추정하고 있죠.
태양의 지름은 지구의 109배 정도이고, 태양의 질량은 지구의 약 33만 배이죠. 그리고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8%가 바로 태양의 질량입니다. 따라서 태양이 폭발하면 태양계도 같이 폭발하죠. 하지만, 태양의 나이는 현재 50억 년이고, 앞으로 50억 년 더 살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 태양의 지름 구하는 법 -
태양의 지름을 구하는 방법은 달의 지름 구하는 방법과 같이 삼각형 닮음비를 이용하여 구하면 됩니다.
비례식을 d : l = D : L 이고, d와 l은 측정해야 하는 값이고, L은 알고 있어야 하는 값이죠. 참고로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는 1억 5천만 km입니다.
- 태양의 표면 (광구) -
태양의 표면을 광구라고 합니다. 광구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쌀알무늬와 흑점입니다.
1. 쌀알무늬
태양의 중심에서 수소핵융합이 끊임없이 일어나므로 에너지는 계속 방출되죠. 그렇다면 태양의 표면 아래쪽에 대류층이 있는데, 여기서 대류현상으로 일어납니다. 이런 대류현상으로 생기는 현상이 쌀알무늬이죠. 쌀알무늬는 누군가 태양 표면에 쌀알을 뿌린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네요~~
2. 흑점
흑점은 태양 표면보다 온도가 2천도 낮은 곳에서 생기는 부분으로 검게 보이는 점 같다고 해서 흑점이라고 하죠. 흑점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고, 흑점의 수명은 수일 또는 수개월인 것도 있습니다. 흑점의 주기는 약 11년으로 태양의 활동에 따라서 흑점의 수가 증감하죠.
혹시 태양이 자전한다고 들어보셨나요? 태양도 자전을 합니다. 근데,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바로 흑점의 이동으로 알 수 있죠.
흑점이 동에서 서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은 태양이 스스로 자전하고 있다는 것이고, 위도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죠? 그것으로 태양의 표면이 고체가 아닌 다른 상태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고체라면 이동속도가 같아야 해요.) 또 저위도와 고위도에서 이동속도가 다른다는 것은 태양의 자전속도가 저위도가 고위도보다 빠르다는 것이죠.
- 태양의 대기 -
태양도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의 표면이 밝기 때문에 대기를 관측하기는 힘들죠. 그럼 절대로 볼 수 없을까? 아니죠. 바로 개기일식 때 볼 수 있습니다. 태양의 대기에는 채층과 코로나가 있어요.
1. 채층
채층은 광구 바로 위에 보이는 얇은 대기층으로 붉은색을 띠고 있죠. 그림에서 별표한 부분뿐만 아니라 검은색 주변에 보이는 것이 채층입니다.
2. 코로나
코로나는 채층 바깥쪽으로 넓게 뻗어 있는 대기층으로, 옅은 진주색을 띠며, 온도가 100만 ℃ 이상이에요.
3. 대기에서 볼 수 있는 현상
- 홍염 -
홍염은 고온의 물질이 채층을 뚫고 올라와 코로나까지 솟아 오른 불기둥입니다.
- 플레어 -
플레어는 흑점부근에서 폭발이 일어나 많은 양의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방출되는 현상으로 말합니다.
- 태양의 활동이 활발히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 -
태양 안에는 엄청 많은 수소들이 서로 융합을 하고 있죠. 그래서 엄청난 에너지를 끊임없이 방출하고 있답니다. 항상 태양의 활동이 활발할까? 그것은 아니고 약간의 주기가 있어요. 태양은 약 11년을 주기로 활발했다가 약간 저조했다가 하는데요, 위에서 흑점의 수가 11년 주기로 증감한다고 했죠? 흑점의 수가 11년을 주기로 증감하는 것도 태양의 활동과 관련이 있답니다.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면 에너지가 많이 방출되겠죠? 그럼 채층이나 코로나외 홍염과 플레어 현상이 더 자주 관측이 될 수 있죠. 그리고 태양에서 오는 태양풍의 세기는 더 강해지게 됩니다. 강해진 태양풍(태양에서 나오는 전기를 띤 입자의 흐름)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과 만나서 우리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죠. 바로 무선통신 방해(델린저 현상)와 정전(자기 폭풍으로 인해서 과도한 전류가 흘러 송전시설 고장 나게 할 수 있음), 그리고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의 고장이 일어날 수 있답니다. 이런 단점 외에 오로라가 자주 관측되거나 평소보다 더 낮은 위도에서 관측이 될 수 있다는 장점도 갖고 있어요.
이상 3단원 마지막 태양에 대한 알아봤습니다.^^ 항상 긴 글 읽어주시는 모든 분께 감사합니다.
구독과 하트, 광고는 제게 큰 도움이 됩니다.^^
'중등과학문제 > 중2 과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과학 4단원 광합성 -2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8) | 2023.05.12 |
---|---|
중2과학 4단원 광합성 -1 (29) | 2023.05.12 |
중2 과학 3단원 태양계의 구성 (2) - 목성형 행성 (10) | 2023.05.07 |
중2 과학 3단원 태양계의 구성(1) - 지구형 행성 (10) | 2023.05.06 |
중2과학 3단원 일식과 월식 (13)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