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중3 1단원 문제 (마지막) 본문

중등과학문제

중3 1단원 문제 (마지막)

나의 보물들^^ 2023. 1. 28. 10:55

안녕하세요^^

눈이 계속 내리는 겨울입니다. 다들 눈으로 사고 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출근하는데 오늘 앞으로 한번, 뒤로 한번 총 2번 넘어졌네요ㅠㅠ 다치지는 않아서 다행이지만, 다들 눈길 조심하세요^^

 

오늘은 1단원 문제 마지막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를 볼까요??

모 중학교 기출문제

1단원에 마지막 중단원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 출입입니다. 이미 에너지 출입에 대한 문제 및 이론을 올렸으니 문제를 보기 전에 이론을 한번 보시고 봤으면 좋겠습니다.

문제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 출입의 대한 예입니다. 에너지를 방출하는 발열 반응과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 반응을 구별해야 하는데, 예를 모두 암기하고 풀이하는 방법도 있지만, 예를 다 암기하고 푸는 것보다는 스스로 이 반응이 흡열 반응인지 발열 반응인지 찾아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ㄱ. 식물이 광합성을 한다. - 광합성이란 식물에서 빛이 있을 때 물과 이산화탄소를 합성하여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반응이죠. 이 반응이 발열 반응일까요? 흡열 반응일까요? 흡열 반응입니다. 왜? 빛이 있어야 광합성이 일어납니다. 빛에는 열이 들어 있죠. 우리가 빛을 쬐면 따스함을 느끼는 것이 빛에 열이 들어 있어서 그래요. 그럼, 빛이 반응할 때 들어가기 때문에 흡열 반응으로 보시면 됩니다. 

ㄴ. 나무를 태워 추위를 피한다. - 연소 반응이네요. 연소가 일어나면 빛과 열이 주변으로 퍼져나오죠. 이때 열이 우리가 받으면 따스함을 느낍니다. 따라서 발열 반응이네요.

ㄷ. 얼음과 소금을 섞어 냉각제로 사용한다. - 냉각제는 차갑게 하는 것이죠? 차갑게 하려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오면 온도가 내려가니 차갑게 되겠네요. 그럼 주변의 열을 빼앗아 가므로 흡열 반응이네요. 

ㄹ. 눈이 쌓인 도로에 염화 칼슘을 뿌리면 눈이 빨리 녹는다. - 눈이 녹는다. 눈이 왜 녹죠?? 열을 받아야 녹겠죠??? 그럼 열을 어디서 올까요? 염화칼슘은 스스로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조해성이라고 합니다.) 염화칼슘은 스스로 녹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 발열 반응이죠. 이때 나오는 열이 눈을 녹이고, 그러면 염화칼슘이 물에 녹게(용해) 되죠. 염화칼슘이 녹아 있는 물의 어느점은 영하 52도까지 내려갑니다. 눈이 올 때 염화칼슘을 뿌리면 눈이 빨리 녹는 것도 있지만, 온도가 내려가면 눈이 녹아서 빙판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죠. 그래서 제설제로 많이 이용을 합니다. 

그럼 정답 보이시나요??????

발열 반응에 다른 예를 산과 염기가 반응하는 중화반응, 철이 녹스는 산화반응, 우리 몸에서 에너지가 생성되는 이화반응이 있고요, 흡열 반응은 질산 암모늄을 물에 녹여서 만든 간단한 아이스팩, 물속에 있다가 나오면 춥죠?? 이것도 흡열 반응이에요.. 예를 알고 문제를 푸면 좋겠지만,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문제입니다.

모 중학교 기출문제

두 번째 문제는 화학반응식을 세울 수 있는가?? 입니다.

화학반응식이란 원소의 기호를 이용하여 세운 반응식인데, 화살표를 기준으로 왼쪽이 반응하는 물질, 오른쪽은 생성되는 물질이고, 물질을 원소 기호로 표시를 합니다. 

문제에서 원소기호가 A와 B로 되어 있네요. 근데, A는 하나씩 되어 있고, B는 두 개가 붙어서 있죠. 여기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이 A는 금속원소이고, B는 분자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분자란 물질의 성질을 지닌 가장 작은 입자를 말합니다. 모든 물질을 분자로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왜? 금속같은 경우 하나의 묶어서 표현을 해야 하는데, 많은 입자들이 결합을 하고 있어서 처음과 끝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금속인 경우 분자로 표현하지 않고, 금속은 원소 기호로만 표시합니다. 예를 들면 철 하면 Fe, 구리 하면 Cu 이렇게 표현합니다. 따라서 A는 금속이고, 2개 있으니 2A로 표현합니다. B는 두개가 하나로 묶어 있네요. 그럼 분자로 봐야 하네요. 즉, B는 한 분자가 원자 2개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B2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리고 생성되는 물질을 보면 A와 B가 하나씩 이루어져 있네요. 그럼 화학식은 AB로 표현합니다.

그럼 화학반응식은 2A + B2 -> 2AB 이렇게 표현하면 되네요.. 답 보이시죠??

 

이상 1단원에 관한 문제를 총 4번에 걸쳐서 풀어봤습니다.

문제를 먼저 풀기보다는 이론을 이해하고 문제를 보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눈이 정말로 많이 옵니다.^^ 건강에 유의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중등과학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3 2단원 기권과 포화수증기량 문제 (2)  (35) 2023.01.29
중3 기권 문제  (23) 2023.01.28
중3 1단원 문제 (3)  (14) 2023.01.27
중3 1단원 문제 (2)  (31) 2023.01.26
중3 1단원 문제 입니다.  (38)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