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단원 (7)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기말고사가 점점 다가오고 있네요. 준비는 잘 되어 가고 있으세요?? 어제 수능에 대한 뉴스가 나와서 많이 혼란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킬러문항 배제... 참.. 어렵네요. 하지만, 우리는 지금 내신에 집중했으면 합니다. 흔들리지 마시고 힘내시기를~~~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풀이를 잘 읽어보시면 답이 보이기 때문에 정답은 따로 적지 않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유효 핵전하 문제풀이 유효 핵전하는 전자가 실제로 느끼는 핵전하를 말합니다. 핵전하는 핵이 띠는 전하를 말하는 것이죠. 유효 핵전하와 핵전하 차이 이해되시나요?? 일반적으로 유효핵전하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커집니다. 같은 주기이므로 전자껍질수는 같아요. 그래서 안쪽 전자들이 가려주는 효과는 같죠. 그러나 양성자수..

며칠 전 대통령의 수능발언으로 인하여 학생과 학부모님들 많이 황당하게 만들었는데...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 그냥 어이가 없네요~~ 그래도 시험은 다가옵니다. 우리는 우리의 일을 먼저 합시다~~ 화학1 2단원 원자의 세계 기출문제 5번째 시간입니다. 문제풀이를 적기 때문에 따로 답은 안 적습니다. 풀이를 꼼꼼하게 읽으면 답이 보여요~~ 원소의 특성 및 원자의 전자배치 문제풀이 3주기 원소 A ~ C 가 있네요. 참고로 모두 바닥상태~~ 자료를 보면 1) 원자 반지름은 C가 가장 작다. - 원자 반지름은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작아집니다. 왜? 같은 주기이면 전자껍질의 수는 같죠. 그런데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양성자수도 증가하죠. 그러면 유효핵전하가 점..

화학1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입니다. 기말고사 범위가 보통 2단원인 원자의 세계이죠? 학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그래서 2단원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풀이를 보면 답이 보이므로, 정답은 안 적어요^^ 이온화 에너지 풀이과정 이온화에너지라는 것은 원자핵 주변에 전자 1개를 떼어내기 위한 최소의 에너지를 말하죠. 첫 번째 전자를 떼어낼 때 필요한 에너지를 제1 이온화 에너지라고 하죠. 두 번째 전자를 떼어내기 위한 에너지를 제2 이온화 에너지라고~~~ 이온화에너지가 갑자기 꺼지는 것을 가지고 바깥쪽에 몇 개의 전자가 있고, 몇 족의 원소인지 알 수 있답니다. X는 제2 이온화 에너지에서 제 3이온화 에너지가 될 때 이온화에너지가 확연하게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이..

기말고사 시즌입니다. 화학1 2단원 원자의 세계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이를 하겠습니다.^^ 문제마다 해설을 하기 때문에 답은 없습니다. 해설을 보시면 답을 알 수 있으니까, 참조하세요^^ 원자의 구조, 동위원소, 전자배치 문제풀이 총 4개의 원소가 있네요. A, B, C, D 양성자수를 알면 원자번호를 알 수 있죠. 원자번호는 양성자수 이므로~ A와 B는 양성자수가 같네요. 그럼 뭘까요? 동위원소입니다. 동위원소는 양성자수는 같지만, 중성자수가 다른 원소를 말하죠. A와 B의 중성자수 알 수 있나요? A와 B는 양성자수가 1개이므로 원자번호가 1번인 수소이고, 수소의 전자는 1개이죠. 따라서 A의 중성자수는 2개, B의 중성자수는 1개입니다. C는 양성자수가 5개이므로 원자번호는 5번인 붕소이고, 전..

2학년 전기파트에서 가장 많이 어려워하는 파트가 바로 전류와 자기장이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네이버 지식인 활동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이해가 안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직선도선에 의한 자기장, 원형도선에서 자기장, 코일에서 자기장 세 가지를 문제와 함께 푸는 방법에 대해서 봤습니다. 2023.06.04 - [중등과학문제] - 중2 과학 전류에 의한 자기장 문제풀이 -직선전류 중2 과학 전류에 의한 자기장 문제풀이 -직선전류 네이버 지식인 활동을 하고 있는데, 2학년 학생들이 많이 물어보는 것이 전류에 의한 자기장과 자기장 속에서 도선이 받는 힘에 대하여 많이 물어보고 답을 해주고 있습니다. 비슷한 문제를 많 kblue77.tistory.com 2023.06.05 - [중등과학문제] - 중2과..

포화수증기량 문제(16 ~ 17번) 16번 문제풀이 그래프를 보시면 A, B, C 세 지점이 있는데, A는 포화 상태이고, 나머지는 불포화 상태이죠? 보기를 볼게요^^ 1. A기체의 상대습도는 100%이다. -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 포화수증기량 X 100로 구합니다. A지점의 현재수증기량은 포화수증기량과 같으므로 상대습도는 100%이네요. 2. B, C 기체는 불포화 상태이다- 포화수증기량 곡선 아래쪽에 있으면 불포화상태이죠. 3. 10도에서 포화 상태인 공기 10kg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은 7.6g이다. - 포화수증기량은 공기 1kg 속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이죠. 근데, 보기에서는 1kg가 아닌 10kg이므로 들어갈 수 있는 수증기량은 7.6g의 10배인 76g이네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