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등과학문제/중2 과학이론 (60)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추운 겨울 난로와 같은 전열기구옆에 있으면 따뜻함을 느끼죠. 그리고 오븐에 고구마를 구울 때 속까지 잘 익게 하는 방법 아시나요?? 라면을 끓일 때 가스레인지에서 열이 어떻게 물속으로 이동할까요? 열은 이동하게 됩니다. 그럼 어떻게 이동을 할까요? 오늘은 열의 이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열의 이동 방법 - 전도 열은 고체, 액체, 기체에서 이동하게 됩니다. 이 때 물질의 상태에 따라서 이동하는 방법이 다르죠. 각각의 이동방법에 대해서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도 전도는 고체상태인 물질들에서 열이 이동하는 방법인데요, 고체로 된 물체를 가열하면 가열된 부분의 입자들이 열을 받아 활발하게 운동을 하면서 주변에 있는 입자들도 같이 활발하게 운동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웃한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

중학교 2학년 과학 마지막 단원은 열과 우리 생활이네요. 이 단원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경험할 수 있는 파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온도, 열, 열팽창, 비열, 열량등 생소한 단어가 나오지만, 차근차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면서 본인의 것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첫 번째 중단원은 온도입니다. 온도 온도는 물체의 차고 뜨거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물리량을 말합니다.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온도는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절대온도가 있습니다. 단위는 ℃(섭씨), ℉(화씨), K(켈빈)를 사용합니다. 섭씨온도( ℃) 섭씨온도는 1 기압에서 순수한 물의 어느점을 0℃, 물의 끓는점을 100℃로 100등분한 온도를 말합니다. 단위는 ℃(섭씨)를 사용하죠. 예를 들면 50℃는 섭..

우리나라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서, 물고기 종류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들어보셨죠? 바닷물의 온도는 위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데요, 이번 시간에는 바닷물의 온도가 다른 이유, 그리고 바닷물의 수심에 따라서 온도가 다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해수의 표층 수온분포 해수의 표층 수온은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태양 복사 에너지입니다.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이 도달하는 곳은 해수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참고로 표층은 해수면, 즉 우리가 보는 바닷물 해수면을 말합니다. 1. 위도별 해수 표층 수온 위도에 따라서 태양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는 양이 다르죠. 저위도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이 도달하고, 고위도나 극지방에서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죠. 그래서 저위도..

해수, 즉 바닷물이죠. 바닷물은 우리가 마시는 물에 비해서 짠맛과 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짠맛과 쓴맛은 염화나트륨과 염화마그네슘이 바닷물에 들어 있기 때문이죠. 바닷물에는 물외에 여러 가지 물질이 녹아 있는데요, 바닷물에 녹아 있는 물질을 염류, 그리고 얼마나 녹아 있는지 나타낸 수치를 염분이라고 하죠. 오늘은 염류와 염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염류란?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하얀색 가루가 남습니다. 이 가루의 맛을 보면 짠맛과 쓴맛이 나는데, 이는 염화나트륨과 염화마그네슘이 바닷물에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바닷물에 녹아있는 여러가지 물질을 염류라고 합니다. 염류 중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것은 염화나트륨이고,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염화마그네슘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가장 많은 것이 염화나트륨이죠..

우리가 사는 지구에는 육지, 물, 그리고 하늘이 있습니다. 2학년 과학 7단원은 수권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권에 해당하는 곳은 어디이고, 수권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해수의 구성성분과 염분비 일정 법칙등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권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권, 수권, 기권로 구성되어 있죠. 지권는 땅이고, 수권은 바다, 강물, 지하수 등 물로 된 부분이죠. 그리고 기권은 하늘을 말합니다. 우리가 공부할 수권은 물로 된 부분으로 지구에서 물로 이루어진 곳은 바다, 강물, 지하수, 빙하, 호수가 있고, 여기를 수권이라고 합니다. 해수 해수는 바다를 의미하죠. 짠맛이 나는 특징이 있는데, 수권의 약 97%가 해수로 수권의 대부분은 해수로 보셔도 됩니다. 담수 담수는..

크로마토그래피는 혼합물을 이루는 성분 물질이 용매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분리되는 성분 물질의 수나 용질이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집니다. 용질이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서 혼합물속에 들어 있는 성분 물질의 수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크로마토그래피는 여러 가지 물질이 섞인 혼합물을 한 번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용매를 따라 용질이 이동하는데, 용질마다 용매를 이동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분리를 할 수 있죠. 여러 가지 섞인 혼합물들이 용매를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그러면 용매와 같이 빨리 이동하는 용질은 가장 위에 있고, 용매와 같이 천천히 이동하는 용질은 가장 아래쪽에 있습니다. 이렇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