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2단원 마지막 중단원 날씨의 변화

안녕하세요.

2단원 마지막 중단원입니다.

이번 파트는 우리나라 사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 고기압과 저기압, 온대 저기압, 전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단

우리나라에 미치는 기단들 - 네이버 참조

기단이란 넓은 장소에 오랫동안 머물면서 지표의 성질과 비슷하게 된 공기 덩어리를 말합니다. 이런 기단은 생성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서 성질이 달라지는데요, 추운 지방에서 만들어졌으면 추운 기단이고, 육지에서 발생했다면 건조하겠죠?? 그래서 시베리아 기단은 북쪽과 육지에서 만들어지므로 춥고 건조한 기단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라고 하죠. 그래서 총 4개의 기단이 오는데,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 여름에는 북태평양 기단, 봄과 가을에는 양쯔강 기단, 초여름에는 오호츠크해 기단이 와서 계절의 날씨가 바뀌게 되는 것이죠. 

그림에 각각의 설명도 있으니 참조 해주세요^^

 

2. 전선

전선이란 차가운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서 구름이 만들어지는데, 만나는 경계면을 전선면이라고 하고, 경계면이 지표와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고 합니다. 전선을 경계로 기온, 습도, 바람등 날씨가 변합니다.

전선에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차가운 기단이 따뜻한 기단을 위로 올리는 한랭 전선, 따뜻한 기단이 차가운 기단 위로 올라가는 온난전선, 한랭전선과 온난 전선이 만나서 겹쳐지는 폐색 전선,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해서 오랫동안 한 곳에 머물러 있는 정체 전선으로 나눕니다.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 네이버 참조

한랭 전선은 찬 기단이 따뜻한 기단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밀도가 큰 찬 기단이 밀도가 작은 따뜻한 기단을 위로 올리면서 발생하는데, 갑자기 위로 올라간 따뜻한 기단은 위로 올라가니 구름이 만들어진다. 이 때 만들어지는 구름은 위쪽을 솟은 모양의 적운형 구름이고, 좁은 지역에 강한 비가 (소나기) 내린다. 그리고 따뜻한 기단이 있다가 찬 기단이 왔으므로 기온은 내려가고 기압은 올라가게 된다. 

온난 전선은 한랭 전선의 반대의 개념인데, 따뜻한 기단이 찬 기단쪽으로 이동을 하면서 밀도가 작은 따뜻한 기단이 찬 기단 위로 올라가면서 옆으로 퍼진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속도는 느린 편이고, 구름이 옆으로 퍼져서 넓은 지역에 이슬비(보슬비) 같은 약한 비가 오랫동안 오게 된다. 따뜻한 기단이 이동하기 때문에 기온은 올라가고 기압은 내려간다. 

정체 전선은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해서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려 있는 전선이다. 우리가 초여름에 오는 장마가 바로 정체 전선이다. 두 기단의 세력이 처음에는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어느 한쪽의 세력이 강해지므로 장마는 일 년 내내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폐색 전선은 한랭 전선과 온난전선이 만나서 겹쳐지는 전선으로 시간이 지나면 세력의 성질이 반대이므로 소멸하게 된다. 

4가지 전선의 기호 - 네이버 참조

 

3. 고기압과 저기압

기압이란 공기가 누르는 압력이라고 했다. 고기압과 저기압을 나누는 기준은 주변보다 기압이 높으면 고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낮으면 저기압이라고 한다. 상대적이라는 것이 보이죠??

고기압과 저기압 - 네이버

저기압은 지표면의 온도가 주변보다 높아서 지표의 공기가 위로 상승하게 되고, 고기압은 하늘에 공기가 내려오면서 기압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저기압에서는 공기가 위로 상승하니 구름이 생성하게 되고, 고기압에서는 하늘에 있던 공기가 내려오면서 단열 압축으로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서 맑은 날씨가 된다.

이런 말 들어봤죠?? 나 저기압이야!! 기압이 낮으면 공기가 상승하게 되죠.. 그럼 구름이 만들어진다. ㅋㅋㅋ 연관이 되시나요??

그림에서 고기압은 지면에서 시계방향으로 공기가 나가고, 저기압은 반시계 방향으로 공기가 들어가고 있죠. 따라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즉,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단,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북반구 기준입닌다.)

- 온대 저기압-

온대 저기압은 중위도 지방에서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서 생기는 저기압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온대 저기압 - 비상교육

우리나라인 경우 북쪽에 찬 기단과 남쪽의 따뜻한 기단이 만나서 생기는데, 왼쪽에는 한랭 전선, 오른쪽에는 온난 전선이 생성되고, 지역마다 날씨가 변한다.

온대 저기압 - 비상 교육 참조

지면서 A, B, C 지역에 날씨가 다르다. 우선 C는 한랭 전선 뒤쪽에 있는 곳으로 경계선 뒤쪽에 강한 소나기가 오고, 기온은 내려가고, 기압은 올라간다. A는 온난 전선 앞쪽으로 경계선 앞쪽에서 약한 비(이슬비, 보슬비)가 내리고 기온은 상승, 기압은 내려간다. B에는 따뜻한 기단이 차지하고 있어서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온도가 높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온대 저기압은 동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리나라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서) 그러면 한랭 전선이 다가오면서 한랭 전선의 특징의 날씨를 볼 수 있다. A도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온난 전선의 영향 아래에 있다가 B지역처럼 따뜻한 공기가 있는 상황이 되었다가 또 시간이 지나면 한랭 전선의 영향 아래에 있게 된다. 바람도 남동풍에서 남서풍으로 그리고 북서풍으로 시계방향대로 바뀌는 환경이 된다. (바람은 위쪽 그림을 참조하세요^^)

다시 정리를 하자면 온대 저기압의 방향은 서에서 동으로, 온난 전선이 먼저 왔다가 따뜻한 공기만 있다가 나중에는 한랭전선이 온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4. 계절별 우리나라 날씨

계절별 우리나라 날씨 - 비상교육 참조

우리나라는 사계절마다 접근하는 기단이 달라서 계절별로 날씨가 달라진다. 우선 봄과 가을에는 양쯔강 기단이 오는데, 일기도를 보시면 다른 계절에 비해서 고기압과 저기압이 맘대로 섞여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성이 있어서 그렇다. 봄에는 황사가 오고,  꽃샘추위가 나타나고, 가을은 천고마비 계절이라고 해서 하늘이 높게 보이고, 첫서리가 온다.

여름에는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남쪽에는 고기압, 북쪽에는 저기압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남고북저 기압배치라고 한다. 초여름에는 장마가 오고, 장마가 끝나면 무더위, 열대야, 폭염이 나타난다. 겨울에는 서쪽에는 고기압, 동쪽에는 저기압이라 서고동저라고 한다. 한파, 삼한사온(삼일은 춥고, 사일은 따뜻하다), 폭설이 온다.

 

이상 2단원 마지막 중단원인 날씨의 변화였습니다.^^

 

내용 정리 잘하시고 문제를 꼭 푸셨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드형

'중등과학문제 > 중3 과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3 감각기관(1)  (24) 2023.02.16
중3 3단원 운동과 에너지  (20) 2023.02.13
중3 2단원-3 기압과 바람  (6) 2023.02.03
중3 2단원 구름과 강수  (8) 2023.01.31
중3 2단원 -포화수증기량, 습도  (14) 2023.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