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691)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안녕하세요. 제 전공이 화학입니다. 그래서 15년간 학원에서 중고등 과학을 강의를 했습니다. 지금은 학원이 아닌 곳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하고 싶은 욕심에 지금도 과외를 하고 있어서 고등학교 화학 1에 대한 문제풀이도 하려고 이렇게 글을 적었습니다. 우선, 23학년도 수학능력시험 화학 1 기출문제입니다. 하루에 하나 또는 두 개정도만 풀이를 하려고 하니 답답해도 이해해주세요^^ 자 그럼 문제 나갑니다. 1번 문제는 화학 1 1단원에서 배웠던 내용입니다. 물질의 특성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 물어보네요. 보기 첫 번째 에탄올은 다들 아시죠?? 특히 코로나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손 소독제로 많이 이용하고 있잖아요.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하지만, 의료용 소독제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메탄..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비열에 관한 문제입니다. 비열이란 물체의 1kg를 1도씩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말하죠. 이런 비열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많이 사용하는데, 돌솥 냄비와 양은냄비를 비교하자면, 두 개의 냄비에 똑같은 열량을 가하면 양은냄비가 쉽게 열이 올랐다가 금방 식히죠. 이게 바로 비열이 작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열이 작으면 쉽게 열이 올랐다가 쉽게 식히는 특징이 있죠. 자 그럼 문제를 볼까요?? 문제에서 보온이 잘 되는 그릇을 만들려고 하는데, 보온이 잘 되려면 어떤 특징이 있어야 할까요? 천천히 식어야 하고, 천천히 끓어야 하는 특징. 바로 비열이 커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프에서 비열이 가장 큰 것이 물이고, 두 번째가 식용유이죠. 근데, 물과 식용유로 그릇을 만들 수 없으니 물과 ..

안녕하세요. 제가 과외를 하고 있는데, 오늘 중등부 과학 기출문제를 풀다가 열팽창 문제를 봐서 또 하나 올려봐요~~ 열팽창은 물체에 열을 가하면,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그러면 부피가 커져서 팽창하는 현상이죠. 반대로 온도를 낮추면 운동이 둔해져서 부피가 줄어들죠. 모 중학교 기출문제를 보다가 문제를 잘 안 읽으면 틀린 것 같아서 올려봐요~~ 자! 그럼 문제 나갑니다. 문제를 대충 읽고 풀이를 하면, 오답을 고를 수 있어요. 왜냐하면, 보기에 나와있는 내용을 맞는 말이죠. 근데, 문제를 잘 보면, 은수가 뚜껑을 열려고 하는데, 안 열려서 뜨거운 물을 부었더니 유리컵이 깨졌다는 것이다. 그럼, 왜 유리컵이 왜 깨졌을까요??? 바로, 유리컵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온도가 올라가서 유리병의 ..

안녕하세요 중3 문제 몇 문제 풀이했어요. 기말고사는 3학년도 보겠지만, 아마 지금 거의 고등학교 배정으로 끝나서 그래도 올려봐요. 제 블로그에 가장 많은 글이 별이라서 중3 첫 번째는 별의 연주 시차입니다. 연주 시차는 지구에 6개월 간격으로 별을 관측할 때 생기는 각인데 왜 단위가 각이 아닌 초일 까요? 1도는 60분, 1분은 60초, 따라서 각도에서 도 외에 분, 초도 각의 단위로 사용하고 있고, 우주는 매우 크기 때문에 1도의 단위는 엄청 커서 그보다 작은 단위인 분, 초를 사용합니다. 연주 시차를 통해서 별과 지구까지 거리도 측정이 가능하고, 지구와 가까우면 밝게 보이고, 멀리 있으면 어둡게 보이겠죠? 이렇게 사람의 눈으로 보이는 밝기를 겉보기 등급이고, 실제로 별의 밝기는 절대 등급이라고 합니..

안녕하세요. 세 번째는 열의 팽창에 대한 문제입니다. 열팽창은 고체나, 액체, 기체에 열을 가하면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져서 부피가 커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고체보다 액체가 액체보다는 기체가 열팽창이 쉽게 일어나죠. 그럼 학교에서 주로 어떤 문제를 출제할까요? 바로, 고체나 액체의 열팽창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에 대한 문제로 출제를 합니다. 문제를 보면서 확인해볼까요?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을 붙여서 만든 바이메탈입니다. 바이메탈은 서로의 열팽창 정도가 달라서 열을 가하면 열팽창이 큰 금속이 점점 부피가 팽창하다 보니 열팽창이 작은 금속 쪽으로 휘게 되는 장치입니다. 이런 장치로 대표적인 게 바로 화재경보기이죠. 평소에는 그림 (나)처럼 떨어져 있지만, 불이 나면, 그림(가)처럼 열팽창..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열평형 문제 입니다. 열평형이란 고온의 물체와 저온의 물체가 접촉하여 열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여 온도가 평형이 되는 현상이죠. 그럼 이문제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고온의 물체는 열을 잃었고, 저온의 물체는 열을 얻었죠. 그럼 잃은 열의 양과 얻은 열의 양은 같아야 하므로 열량을 계산해서 열평형이 되는 온도를 찾으시면 됩니다. 열량(Q)=비열(C)×질량(m)×온도변화(t)이죠. 여기서 온도변화는 처음의 온도와 열평형이 되었을때 차예요. 그럼 계산을 하면 열평형이 될때 온도는 모르니 t라고 하고, 물의 비열은 1이므로 잃은 열량은 1×2×(70-t)이고, 얻은 열량은 1×1×(t-10)이다. 두식의 값이 같아야 하므로 계산을 하면 t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편의상 단위는 빼고 적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