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689)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현재 국제천문연맹에서 확정된 별자리는 총 88개로 우리나라가 있는 북반구에는 28개, 남반구에는 48개가 있어요. 합하면 76개잖아요. 총 88개인데, 그럼 12개는 어디에 있을까요? 12개는 황도12궁이라고 지구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별자리예요.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있기 떄문에 28개의 별자리를 볼 수 있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죠. 그래서 계절마다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달라요. 왜일까요? 바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을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계절에 상관없이 볼 수 있는 별자리도 있답니다. 이런 별자리를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라고도 하죠. 자~ 그럼 북쪽 하늘의 별자리와 계절별 별자리, 그리고 생일별 별자리도 알아볼까요? 우선 북쪽 하늘의 별자리는 무엇이 있을까요? 누..

별 영어로는 star, 항성이라고 하지.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하는데, 우주에는 이런 별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 알고 있죠? 지구의 사람 수가 약 70억이라고 하는데, 이것보다 훨씬 많은 별이 있다는 사실. 많은 사람이 별과 천체를 같이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과연 큰 의미가 있을까? 생각이 드네요. 금성을 샛별이라고 한 것처럼, 항성은 영어로는 fixed star, 행성은 planet이라고 구별하지만, 그냥 다 같은 천체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별은 영어로 star 스타이다. 스스로 타는 천체 줄여서 쓰다. 그리고 수소가 타서 에너지를 만들어서 (스타). 한번 이렇게 외워보는 것 어떤지?? 재미있네요. 별은 어디서 태어날까? 사람, 동물, 식물 모두 태어나듯이 별도 태어난다..

별은 항성이라고 한다.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하고,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이고, 우주에는 태양과 같은 별이 무수히 많다. 별이 모여서 성단을 이루고, 성단이 모여서 은하를 이루게 되는데, 은하에는 약 2천억개의 별이 있다고 하고, 우주에는 은하가 2천억개 있다고 한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별은 2천억 곱하기 2천억으로 약 10의 42제곱이 될 만큼 무지하게 많다고 보면 된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별자리는 어디서 왔을까?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때 양치기 소년들이 양을 데리고 밖으로 나가서 일주일 동안 생활하는데, 낮에는 양을 돌보고, 밤엔 잠을 자야 한다. 하지만, 잠이 안 올 때 무엇을 할 것인가? 지금이라면 핸드폰을 보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지만..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생두를 가공를 거쳐서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한 음료~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커피를 마셨을까요? 때는 1896년 아관파천(다들 아시나요?? 아관파천??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나서 신병의 위험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관으로 궁궐을 옮긴 사건)때 초대 러시아 공사였던 웨베르의 처형인 손탁으로부터 커피를 접한 고종은 이후 커피 애호가가 되었고, 1902년에 손탁 호텔(Sontag Hotel)안에 정동구락부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방이 생겼으며, 한국전쟁을 계기로 미군을 통해 인스턴트 커피가 일반인들에게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지식인 참고) 그럼 우리가 마시는 인스턴트는 한국전쟁이후부터 마셨다고 보면 되겠네요~~ 보통 음식을 좋아하면, 음식의 역사에 대해서 잘 모르고 먹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