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비 일정 법칙은 모두 해수에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같다는 것이죠. 우리나라에는 동해, 서해, 남해 이렇게 3가지 바다가 있는데요, 각 바다의 염분을 다르죠. 즉, 각 바다에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다는 것이에요. 하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다 같다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동해의 염화나트륨의 양이 23g이고, 비율이 77% 라면 서해와 남해의 염화나트륨의 양은 다르지만, 비율은 77%로 같다는 것이죠^^ 자~ 문제를 볼까요?
- 문제 -
염분이 40 psu인 해수 1kg 속에 염화나트륨이 20g 녹아 있다면 염분이 20 psu인 해수 2kg 속에 녹아 있는 염화나트륨의 양은? < 모 중학교 2학년 과학 기말고사 기출문제 참조>
- 문제풀이 -
염분이 40 psu인 해수 1kg 속에 염화나트륨이 20g이라면 염화나트륨의 비율은 몇% 일까요? 40 psu에 들어 있는 염류의 총 양은 40g이죠. 그중 20g이 염화나트륨이죠? 그럼 비율이 50%이네요. 그럼 염분이 20 psu인 해수 1kg에 염화나트륨 비율도 50%가 되어야 하므로, 총염류의 양이 20g이므로, 염화나트륨은 10g이 되겠죠? 근데, 문제에는 1kg가 아니고 2kg이므로, 1kg에 염화나트륨의 10g이라면 2kg에는 20g이 들어있겠네요.
- 두 번째 문제 -
- 문제풀이 -
바닷물을 보면 육지 쪽으로 들어올 때가 있고, 나갈 때가 있죠? 바닷물이 육지로 들어올 때는 밀물, 반대로 빠져나갈 때는 썰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밀물과 썰물의 높이차를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고 줄여서 조차라고도 합니다. 조차의 원인은 태양과 달의 인력 때문인데요, 주로 달의 인력이죠. 달의 위치에 따라서 태양, 달, 지구가 일직선으로 배열이 되면 조차가 크고, 조차가 클 때를 사리라고 하고 이때 달의 위상을 삭과 망이 됩니다. 그림에서 조차가 큰 B와 D는 태양, 달, 지구가 일직선상에 배열될 때이고, B의 날짜가 15일이죠? 그럼 망, D의 날짜가 29일쯤이므로 삭입니다. 그리고 조차가 작을 때를 조금이라도 합니다. 조금일 때 달의 위상은 상현과 하현입니다.
조석주기는 밀물에서 다음 밀물까지 또는 썰물에서 다음 썰물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하루에 약 2번 정도 일어납니다.(정확히 2번은 아니에요.) 조석주기 시간은 약 12시간 25분 정도입니다.
보기를 볼게요~
1. A시기는 사리이다.
- A시기는 사리가 아니고 조금이죠.
2. A와 C시기에 조차가 가장 크다.
- 해수면 높이 변화를 보면 조차가 가장 클 때는 1일에서 3일경으로 보이네요. 즉, A전에~~
3. A ~ B 사이의 기간은 밀물 때이다.
- 밀물과 썰물의 주기는 약 6시간마다 바뀌는 것이에요. 조금에서 사리로 넘어갈 때 밀물과 썰물이 한 번씩만 일어나지는 않고, 여러 번 일어납니다.
4. A~ C 사이의 기간은 조석 주기라 한다.
- 조석 주기는 밀물에서 다음 밀물까지 또는 썰물에서 다음 썰물까지 걸린 시간으로 약 12시간 25분입니다.
5. A ~ D기간 동안 조차의 변화는 달의 공전 때문에 발생한다.
- 조차의 변화의 가장 큰 원인 달의 공전 때문입니다.
- 세 번째 문제 -
어느 해안 지방에서 새벽 6시에 간조가 되었다면 다음 간조가 되는 시각은?
- 문제풀이 -
간조 및 만조는 하루 중 해수면의 높이차가 가장 적을 때를 간조, 가장 높을 때를 만조라고 합니다. 만조를 밀물, 간조를 썰물로 봐도 무방합니다.(단, 정확히 일치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만조와 간조의 시간은 밀물과 썰물의 시간으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밀물에서 다음 밀물까지 약 12시간 25분이므로, 6시에 간조라면 다음 만조는 12시간 25분 뒤인 18시 25분이 됩니다.
이상 염분비 일정 법칙, 조수간만의 차에 관한 문제였습니다.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중등과학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과학 비열 문제 (3) | 2024.12.09 |
---|---|
중2과학 석출량 구하는 문제 (4) | 2024.12.08 |
중2 과학 8단원 열의 이동 및 열평형 문제 (3) | 2024.12.02 |
중2 8단원 열의 이동 관련 문제 (4) | 2024.12.01 |
중2 과학 열팽창 및 비열 현상 문제 (5)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