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간의 소중함을 점점 느끼네요... 벌써 22년이 지나가고 23년 새해가 오는데 이제 2일 남았습니다. 40대 중반 과연 무엇을 했나??? 뒤돌아보는데 정말로 한 것이 아무것도 없구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인지 오늘따라 힘이 쭈~~~~ 욱 빠지는 느낌... 그래도 할 것 해야 되겠죠?? 화성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했는데... 작성을 하는데 헐.. 적을 것이 너무 많고, 특히 화성이주때문에 글이 점점 길어질 것 같아서 과감하게 포기합니다. ㅋㅋㅋ 포기는 아니고, 하루 날 잡아서 완벽하게 정리를 하고 올리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F-4 팬텀에 대해서 포스팅으로 급 변경했습니다. ㅋㅋㅋ 이해해 주세요^^ F-4 팬텀 하늘의 도깨비라는 전투기입니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베트남 ..
안녕하세요^^ 다들 즐거운 목요일입니다. 올해도 이제 3일 정도 남았네요~~~ 남은 기간 동안 마무리 잘하시기를^^ 그럼 금성부터 포스팅해볼까요??? 혹시 샛별 들어보셨나요?? 새벽하늘 동쪽에서 뜨는 별을 샛별이라고 했다고 하네요. 그 외에도 개밥바라기, 명성, 계명성, 모제기라고도 불렀다고 합니다. 샛별은 새벽에 뜨는 별 또는 새로 난 별의 줄임말이네요.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다양한 말로 부른 이유는 샛별이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인데, 금성은 새벽 동쪽하늘에서 뜨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태양빛 때문에 안 보이다가 저녁에 서쪽하늘로 지는 별입니다. 일상생활과 무슨 관련이 있냐?? 예전에 일반 백성들은 새벽에 일터를 나가고 저녁에 돌아왔다고 합니다. 즉, 새벽에 일을 나가서 저녁에 돌아온다~ 아..
안녕하세요^^ 태양계에 대한 두 번째입니다. 태양계에는 태양으로 시작해서 수금지화목토천행 8개의 행성과 수많은 소행성과 왜소행성, 운석, 유성, 혜성 등등 태양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의 공간을 태양계라고 앞에서 이야기를 했죠. 그리고 첫 번째에서는 태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했고, 두 번째는 행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게요~~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이 있습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으로 태양을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말하죠. 19세기까지는 특별한 조건이 없었고, 단지 항성 주변을 공전하는 천체는 다 행성이라고 했다고 하네요. 1801년 세레스 시작으로, 1802년 팔라스, 1804년 주노, 1807년 베스타가 차례로 발견되면서 이들 네 천체를 행성으로 되면서 목..
안녕하세요 우주에 대한 글을 소홀히 하여 우주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적으려고 왔습니다. 우선, 구글 광고 정지 먹어서 ㅠㅠㅠ 좀 슬프네요 ㅠㅠㅠ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에 대하여 다들 들어봤죠?? 태양계란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빛이 1년 동안 간 거리의 공간을 태양계라고 합니다. 참고로 직선거리가 아니에요~~ 태양빛이 지구 쪽으로 가는 것이 아니잖아요. 태양이 둥글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 다 알고 있을 것 같아서 넘어갈게요. 태양계는 태양 (항성), 행성(수 금 지 화 목 토 천 행, 8개의 행성), 위성(행성주위를 공전하는 천체), 화성과 목성사이에 있는 소행성과 행왕성 뒤쪽에 있는 왜소행성, 그리고 혜성, 유성이나 운석 등이 있습니다. 우선, 태양은 항성이라고 하죠. 스스로 빛을 내는 ..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1일 4 포스팅을 위해서 달려볼게요~~ 자 오늘은 새매호라는 비행기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우리나라가 비행기를 만든 것은 한국전쟁 이후입니다. 한국전쟁 때 전투기 한 대도 없이 전투에 임했다는 사실... 정말로 놀랍죠?? 그 당시 우리나라에는 비행기는 있었죠. T-6, L-6, L-4로 전투기가 아닌, 훈련기와 연락기 20대를 가지고 있었어요. 비록 중고로 미국에서 사 온 비행기였죠. 이 비행기의 임무는 거의 조종사 훈련용과 하늘에서 북한의 동태를 살피는 연락기정도였다고 합니다.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북한군은 YAK라는 프로펠러 전투기를 소련으로부터 임대를 해서 침공을 시작. 우리나라 공군은 가만히 있을 수 없어서 T-6 비행기를 몰고 가서, 지상에 있는 적의 속력을 늦..
안녕하세요. 오늘 주제를 무엇으로 할까?? 고민을 하고 있었어요. 근데, 제 블로그 방문자 중 검색순이 1위가 ka-1 경공격기라고 떠서 오늘은 ka-1 경공격기에 대해서 작성합니다. ka-1 경공격기는 처음부터 만든 비행기는 아니에요.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비행기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득하면서 비행기를 제작하기 시작했어요. 한국전쟁 이후 남아 있는 비행기에서 첫 번째인 부활호, 두 번째인 새매호, 그리고 바로 kt-1 웅비입니다. 90년대부터 ktx-1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프로펠러 비행기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봐도 돼요. 처음에는 ktx로 시작이 되었는데, 대우중공업( kai에 항공 부분만 인수)과 국방과학연구원(ADD)이 주도로 프로젝트를 하였고, 91년 시제기 1호를 만들었는데, 시제기 1호 시험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