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등과학문제 (293)
과외하는 두 아이의 아빠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 덜 추운 것 같네요. 그래도 온도는 낮으니까 옷 따뜻하게 입고 건강에 유의하세요^^ 이제 기말고사를 보는 학교도, 슬슬 다가오는 학교도 있겠죠?? 긴장은 많이 하면 안 좋아요^^ 시험을 보는데 긴장을 하지 말라는 것 아니고, 한 번쯤 시험을 즐겨보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네요..... 비록 저두 잘 안되지만... ㅋㅋㅋ 다들 힘내세요^^ 중학교 과학 시험 범위는 학교 선생님마다 다르죠??? 어떤 학교는 교과서 목차대로 나가는 학교도 있고, 중간 부분을 시험 범위로 하는 학교도 있지만, 저는 교과서 목차대로 문제 풀이를 하도록 할게요^^ 기말고사이니 해수와 열의 이동 단원에 대해서 올리고, 가끔은 다른 부분도 올리도록 할께요^^ 비열 세 번째 문제입니다. 이번 문제는 우리나라 ..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에 딸을 학교에 바래다주는데 엄청 춥더라고요~~ 바람도 많이 불고, 진눈깨비도 오고~~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졌으니까 다들 옷 따뜻하게 입고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은 해풍과 육풍에 관한 문제를 볼께요^^ 우선 해풍과 육풍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해수(물)와 모래(육지)의 비열 차 때문입니다. 낮에는 태양빛 때문에 육지가 해수보다 빨리 뜨거워지고, 밤에는 반대로 빨리 식겠죠? 낮에는 육지 쪽에 있는 공기들이 뜨거워지니 상승하게 되어 해수쪽에서 육지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것을 해풍이라고 하죠. 밤에는 반대로 생각하시면 되겠죠? 자 그럼 문제를 볼까요? 낮에는 육지가 빨리 뜨거워지니 육지쪽에 공기가 상승하게 되죠. 바다 쪽에서 공기가 이동을 해야 순환이 일어나죠..

오늘은 해수 단원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문제입니다. 바로 염류의 양 구하기 문제인데요. 염류의 양 구하는 문제는 비율을 가지고 계산하시면 금방 구할 수 있고요, 염분을 구하는 방법, 염분비 일정 법칙을 가지고 다른 지역 해수에서 염류의 양 구하는 문제 등 여러 가지가 나오는데 학생들이 싫어하죠. 왜냐하면 계산이 복잡해서 그런 것 같아요. 염류의 양 문제 문제풀이 문제에서 해수의 염분은 40psu이고, 각 염류의 비율이 나와있다. 문제는 염화 나트륨의 질량을 구하는 문제죠. 염화나트륨의 질량을 알려면 해수 1kg 속에 들어 있는 총염류의 양을 알아야 하는데, 그건 이미 나와 있죠. 염분이 40 psu이고, 해수의 1kg이므로, 해수 1kg 속에 들어 있는 총염류의 양은 40g이다. 따라서, 총염류의 양 7..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학년 해수 관련 문제입니다. 해수하면 바닷물 생각하시죠?? 그럼 지구에는 얼마나 많은 물이 있을까요?? 혹시 오대양 육대주 들어봤죠??? 지구에는 대양이 5개 있습니다.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극해, 북극해를 합쳐서 오대양이라고 하죠. 그럼 육대주는 육지부분인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남, 북),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를 합쳐서 육대주라고 합니다. 이정도는 기본으로 알고계시죠?? 지구에 들어 있는 물의 약 97%는 바닷물이고, 나머니 약 3%는 담수로 빙하, 호수와 하천수, 지하수로 이루어져 있죠. 그럼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담수인데, 주로 호수와 하천수를 사용할 수 있답니다. 그양이 전체의 물의 양에서 1%로도 안되는 사실... 따라서 물을 아껴야 합니다. 아시겠..

안녕하세요^^ 좋은 월요일 아침입니다. 한주의 시작이니 좋은 느낌으로 시작을 해야 하는데.. 잘 안되네요 ㅠㅠ 그래도 할 것은 해야 하니 오늘도 기출문제 분석 들어갑니다. 비열 두 번째입니다. 오늘은 열량을 계산을 하여 열평형이 되는 온도를 찾는 문제입니다. 그럼 문제 볼까요~~~ 문제를 보시면, 물질 A의 질량은 0.5kg, 처음 온도와 나중 온도는 모릅니다. 그리고 물질 A의 비열은 0.2kcal/kg·℃이죠. 문제에서 물어본 것은 처음온도와 나중 온도를 물어본 것이 아니고, 온도 변화를 물어봤습니다. 그럼 어떻게 풀이를 하면 될까요??? 물질 A에 열을 가했는데, 가한 열량이 2kcal라고 했으니 열량 구하는 공식에 대입을 하면 되겠죠?? 열량 = 비열 X 질량 X 온도변화 (Q=cmt로 알고 있는..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비열에 관한 문제입니다. 비열이란 물체의 1kg를 1도씩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말하죠. 이런 비열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많이 사용하는데, 돌솥 냄비와 양은냄비를 비교하자면, 두 개의 냄비에 똑같은 열량을 가하면 양은냄비가 쉽게 열이 올랐다가 금방 식히죠. 이게 바로 비열이 작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열이 작으면 쉽게 열이 올랐다가 쉽게 식히는 특징이 있죠. 자 그럼 문제를 볼까요?? 문제에서 보온이 잘 되는 그릇을 만들려고 하는데, 보온이 잘 되려면 어떤 특징이 있어야 할까요? 천천히 식어야 하고, 천천히 끓어야 하는 특징. 바로 비열이 커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프에서 비열이 가장 큰 것이 물이고, 두 번째가 식용유이죠. 근데, 물과 식용유로 그릇을 만들 수 없으니 물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