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식에 관련된 3가지 법칙을 봤으니 이제 문제를 보도록 할게요^^ 일산화탄소가 연소하여 이산화탄소가 되는 화학반응식이네요. CO는 일산화탄소, O2는 산소분자, CO2는 이산화탄소입니다. 연소라는 것은 물질이 산소와 반응한다는 뜻이에요. ㄱ. 반응 후 전체 질량은 감소한다. - 일단, 질량 보존의 법칙에서는 반응 전과 반응 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했으니까 땡. 근데, 만약 실험이 밀폐된 공간이야? 개방된 곳이야? 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어요. 왜냐하면, 밀폐된 공간이라면 생성물이 기체라도 외부로 나갈 수 없기 때문이고, 개방된 곳이라면 생성물인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겠죠. 그럼 정답을 뭐라고 할까요?? 이 실험에서 알고 싶은 것은 질량보존의 법칙이 성립한 지 안 한 지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1단원 화학에서 나오는 3가지 법칙 바로 질량 보존 법칙, 일정성분비 법칙, 기체 반응 법칙입니다. - 질량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은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돼요. '반응 전과 후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뜻입니다. 왜 변하지 않을까요? 이유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가 다른 원자로 바뀌거나 , 새로운 원자가 생성되거나, 전에 있던 원자가 소멸 되지 않기 때문이죠. 즉, 반응 전과 후 원자는 변하지 않고, 반응 전에 들어있던 원자의 개수도 변하지 않으므로 질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추가로 질량은 입자의 개수로 보셔도 됩니다. 예를 들어, 검은색 구슬 10개가 있는 유리관에 하얀색 구슬 10개를 넣어도 넣기 전 총구슬의 개수와 넣은 후 총구슬의 개수는 변하지 않죠. 여기서 구슬은 원자로 보고, 입자수..
안녕하세요, 화학반응식에 대해서 공부를 합시다^^ 우선 화학반응식이란 물질이 결합을 할 때 어떻게 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원소기호, 화살표로 나타낸 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수소와 산소가 필요한데, 수소의 화학식은 H2, 산소의 화학식은 O2이죠. 그리고 물의 화학식은 H2O입니다. 수소 + 산소 ---> 물 H2 + O2 ----> H2O 이렇게 작성하겠죠??? 근데, 왼쪽 반응식과 오른쪽 반응식에서 원자의 개수는 같아야 하는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해야 합니다. 왼쪽에 산소 원자가 2개이지만, 오른쪽에서 산소 원자는 1개이죠. 그럼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산소의 개수를 같게 만들어야 하므로, H2 + O2 ---> 2H2O 하면 왼쪽과 오른쪽의 산소 원자의 개수는 같아졌는데, 수소 ..
다들 기말고사는 잘 치르고 계신가요??? 예비중 3인 학생이나 자녀가 있는 학부모님들을 볼 확률이 있을 것 같아서 오늘부터는 예비중학교 2, 3학년 문제 위주로 풀이를 할게요^^ 학교 기출문제로 풀이를 하겠습니다. 시판되는 참고서를 가지고 문제풀이 하는 것은 저작권의 소지가 있어서..... 대신, 풀이를 하면서 용어나 이론도 같이 적을게요^^ 화학반응의 종류 중3 1단원은 과학 중에서 화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화학 하면 물질이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시작한 학문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중에 고등학교 들어가면 화학에 대해서 자세히 배우니까 지금은 화학의 기초를 쌓는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반응에는 크게 물리반응(변화), 화학반응(변화)으로 나눈데, 나누는 기준은 ..
문제 오늘은 호흡이 일어날 때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기체 교환의 원리 관한 문제를 보도록 할게요^^ 문제풀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호흡은 두 가지가 있는데, 보통 숨 쉬는 것만 생각하시죠?? 숨 쉬면서 공기가 폐로 들어갈 때 호흡이 일어나고, 폐로 들어간 공기는 혈관을 통해서 조직세포에서 교환이 일어나죠. 폐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호흡을 외호흡, 조직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호흡을 내호흡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가)는 외호흡이고, 나)는 내호흡이네요. 몸에서 기체가 교환이 되는 원리는 농도차에 의한 확산이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농도가 진하 곳에서 옅은 곳으로 기체가 이동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폐에는 어떤 기체가 많을까요? 코로 들어오는 산소가 맞겠죠? 그럼 폐포와 붙어 있는 ..
별의 연주시차 오늘은 별과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별의 연주 시차 두 번째입니다. 문제 문제풀이 그림에서 별A와 별 B 중 누가 기준별일까요? 별 B가 기준별이네요. 기준별이라는 것 연주 시차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별인데 이 기준별은 매우 멀리 있는 곳에 있어서 연주 시차가 측정이 안 되는 별이에요. 연주 시차는 거리가 100pc이하의 별만 관측하는데, 별 B는 거리가 100pc이상의 별이에요. ㄱ. 표면온도는 별의 색으로 표현해요. A는 황색, B는 백색이므로 표면온도는 B가 높아요. ㄴ. A와 B중 누가 멀리 있는 별일까요? 앞에서 말한 대로 B가 더 멀리 있는 별이에요. ㄷ. 절대 등급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겉보기 등급이 같은데, B가 더 멀리 있는 별이고, 표면온도도 높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