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과학 2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풀이 -2

1편에서는 4단원 신경계 기출문제 5문제를 풀이를 했습니다. 2편에서는 5단원 세포분열에 대한 기출문제를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1편을 아직 안 보셨다면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023.10.07 - [중등과학문제] - 중3 과학 2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풀이 -1

 

중3 과학 2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풀이 -1

학교 기출문제 풀이를 시작하겠습니다. 학교마다 시험범위가 다르지만, 문제를 보면서 자신의 시험범위에 속한 문제만 봐도 되니 끝까지 최선을 다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kblue77.tistory.com

 

2편 시작해 볼까요?

 

중간고사 슬로건
중간고사 잘찍고 잘풀고~~ 화이팅입니다.

 

6번 문제

6번 문제는 체세포 분열에 대한 문제입니다.

 

기출문제 6
모중학교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사람모에 있는 세포에는 체세포와 생식세포가 있습니다. 체세포는 몸을 구성하는 세포이고, 생식세포는 생식을 담당하는 세포로 사람인 경우 정자와 난자만 있죠. 동물은 몸 전체에서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지만, 식물은 뿌리 끝에 있는 생장점과 줄기에 있는 형성층에서만 체세포 분열이 일어납니다. 

체세포 분열을 통해서 세포의 수가 많아지면 생물이 생장하게 되는데요, 세포의 크기가 커져서 생물이 커지는 것은 아니에요. 왜냐하면 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세포안쪽까지 물질교환이 일어나야 하는데,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는 일정이상의 크기가 되면 더 커지는 것이 아니라 세포 분열을 하여 세포의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다세포 생물에서 체세포 분열 결과는 생물의 생장 및 재생이 일어나고 단세포 생물은 체세포 분열이 바로 개채수를 늘리는 생식이 됩니다. 답 보이시나요? 잘 찾아보세요^^(4)

 

7번 문제

7번 문제는 염색체에 대한 문제입니다.

 

기출문제 7
모중학교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염색체는 일반 세포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그럼 염색체는 언제 볼 수 있을까요? 바로 세포분열 시에만 볼 수 있고, 세포 분열하기 전에는 염색체가 아닌 염색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포 분열이 일어나게 되면 염색사가 복제가 되고 간기 때 염색체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염색체는 2 가닥의 염색분체로 이루어져 있고, 2 가닥의 염색분체의 유전정보든 동일합니다. 왜 하나가 복제되어 두 개가 되었기 때문이죠. 

A는 염색분체, B와 E는 유전자로 생물의 특징에 대한 유전정보가 들어 있고, C는 염색사는 히스톤 단백질과 유전자로 구성되며 가느다란 실처럼 관찰이 되죠. D는 히스톤 단백질로 염색사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3)

 

8번 문제

8번 문제를 세포 분열을 하는 의의에 대한 문제입니다.

 

기출문제 8
모중학교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1) 정육면제 부피는 가로 X 세로 X 높이 이므로 1: 8

2) 정육면제 표면적은 한 면의 넓이 X 6 이죠. 그럼 1 : 4

3) 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부피가 표면적보다 훨씬 커지기 때문에 물질이 안쪽으로 효율적으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정리를 하자면 세포가 커지면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아지므로 효율적인 물질교환이 어렵기 때문에 세포는 일정이상 크기가 되면 분열을 하게 됩니다.

서술형이라서 그냥 답을 적어야 하네요 ㅠㅠㅠ

 

9번 문제

9번 문제는 양파의 뿌리 끝 실험 문제입니다.

 

기출문제 9
모 중학교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양파의 뿌리 끝을 이용하여 체세포 분열을 관찰하는 실험입니다. 실험순서는 고정 - 해리 - 염색 - 분리 및 압착으로 관찰을 하죠. 고정은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고, 해리는 조직을 연하게 하기 위해서, 염색은 핵과 염색체를 염색하여 관찰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분리 및 압착은 세포들이 겹겹이 쌓여 있어서 한 겹으로 떨어지게 하는 과정입니다.

 

1) 위 실험에서는 염색단계가 빠졌기 때문에 위 실험방법으로 체세포 분열 단계를 관찰하면 핵이나 염색체를 볼 수 없습니다.

2) 핵과 염색체가 안 보입니다.

 

10번 문제

10번 문제는 세포 분열에 대한 문제입니다.

 

기출문제 10
모 중학교 기출문제 참조

 

문제풀이

그림은 체세포 분열 중 후기 모습이네요. 상동염색체가 염색분체로 분리가 되어서 양극으로 이동을 했기 때문에 체세포 분열입니다. A와 B는 염색분체로 같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고, 체세포 분열이 끝나고 생긴 딸세포의 염색체수는 모세포와 동일합니다. 염색체수는 4개입니다. 

 

 

 

 이상 2학기 중간고사 기출문제 2편이었습니다. 열공하세요^^

 

<정답>

6-4번, 7-3번, 8번과 9번은 서술형, 10-2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