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단원은 열에 대한 단원이죠~ 소단원에는 열, 열의 이동, 열평형, 비열, 열팽창 등등 여러 가지 있는데요, 이번 소개할 문제는 비열, 열팽창, 열의 이동에 대한 문제입니다. 한번 같이 볼까요? 첫 번째 문제는 열팽창 문제입니다. 문제풀이그림과 같은 현상 일상생활에서 자주 본 적 있으시죠?? 금속 그릇이 포개졌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리가 배웠던 방법을 이용하면 됩니다. 바로 열팽창이죠^^ 열팽창은 물체에 열을 가하면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입자들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길이나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이죠? 우선, 아래쪽 그릇의 부피가 늘어나면 위쪽 그릇이 쉽게 빠지겠죠? 근데, 위쪽 그릇에 찬물을 부으면 열팽창에 반대 현상으로 길이나 부피가 줄어들겠죠? 이런 방법으로 이용하면..
열팽창을 물체에 열을 주었을 때 물체를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지면 입자들 간의 거리가 늘어나 길이 또는 부피가 커지는 현상이죠. 이런 열팽창을 이용하여 우리 주변에서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바이메탈입니다. 바이메탈은 두 개의 금속을 붙인 것인데요, 이때 금속의 열팽창이 달라야 한다는 것~~ 어디서 사용할까요? 화재경보기, 다리미등에서 사용되고 있죠. 오늘은 바이메탈에 관한 문제를 보도록 할게요~~- 문제풀이 -바이메탈은 그림처럼 두 개의 금속을 붙인 것인데요, 열팽창이 다르기 때문에 물체에 열을 가하면 열팽창이 큰 쪽이 작은 쪽에 비해서 많이 늘어나겠죠? 그러면 열팽창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휘게 됩니다. 따라서 A와 B를 보면 위쪽으로 휘어지고 있죠? 그러면 A가 B..
기말고사가 다가오나 봅니다. 제 블로그에 방문하는 사람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이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염분비 일정 법칙에 관한 문제입니다. 7일 동안 인기글이 염류문제라서~~ 염류와 관련된 문제를 같이 보도록 할게요^^ 문제 풀이과정22번 문제는 전체 염류에서 염화나트륨의 양을 구하는 문제이죠? 우선 전체 염류를 구해야 하는데요, 문제에 해수 1000g에 염분이 31 psu라고 나와 있네요. 염분은 해수 1000g에 들어 있는 염류의 양 g이죠. 따라서 해수 1000g의 염분이 31 psu이면 염류의 양은 31g이 됩니다. 두 번째, 염화나트륨의 비율이 전체 염류의 78%라고 했으니까, 31g 중 78%가 염화나트륨이네요. 계산은 31 X (78/100) 이렇게 하면 되..
11월이 이제 10일 정도 남았네요~~~ 12월 중순부터 2학년 마지막 시험이 다가오는데~~~ 남은 기간 동안 열심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오늘은 열의 이동에 대한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공부해 볼게요^^ 그럼 가볼까요???- 풀이 -1) 열은 이동합니다.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을 할까요?? 바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을 하죠~ 이해가 되시죠??? 그럼 거리에서 화살표의 방향이 열의 이동이므로, A는 B, C, D로부터 열을 받고 있네요. 따라서 A는 온도가 가장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두 번째, D에서 C로 이동하고, C에서 B로 이동을 하는 것 볼 수 있죠? 이를 통해서 D는 C보다 온도가 높고, C는 B보다 온도가 높다는 것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D이고, 그다음 C, ..
중2 과학 7단원은 해수입니다. 해수는 바닷물이죠~ 바닷물은 짜다는 것 다들 알고 있죠?? 얼마나 짤까요? 정확하게 알려면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냥 우리가 마셔보고 "짜네~"라고 하기에는 사람마다 달라서 힘들겠죠? 그래서 바닷물의 짠 정도는 알 수 있는 것이 염류입니다. 정확하게는 염류란 바닷물에 녹아 있는 물질로, 가장 많이 있는 것이 염화나트륨입니다. 그래서 바닷물을 마셨을 때 짠 이유이죠. 그 외에 쓴맛을 내는 염화마그네슘이 두 번째로 많습니다. 두 가지 외에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등 여러 가지 녹아 있습니다. 오늘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분 및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할게요^^ - 문제풀이 - 염분이란 바닷물 1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양을 염분이라고 합니다. 단위는..
중2 과학 8단원 비열 문제 어려워하는 친구들이 있어서 비열 문제 같이 볼게요^^ - 문제 풀이 - 문제에서 구하는 것은 섞은 후 물의 온도이죠??? 그럼 섞은 후 물의 온도를 T라고 할게요. 두 개의 물이 있는데 하나는 100도, 하나는 20도이네요. 그럼 물을 섞으면 열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므로 100도의 물에서 20도의 물로 열이 이동하겠죠? 이때 100도의 물은 열을 잃어버리고, 20도의 물은 열을 얻는데, 잃어버린 열량과 얻은 열량은 같아야 하죠. 열량 구하는 공식은 비열 X 질량 X 온도 변화, 잃은 열량은 1kcal/(kg•°C) X 0.1kg X (100 - T)°C이고, 얻은 열량은 1kcal/(kg°C) X 0.3kg X (T - 20)°C입니다. 두 식이 같아야 하므로, 1k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