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단원은 열의 이동 및 열평형, 비열, 열량, 열팽창등에 관련된 단원입니다. 가장 처음으로 배우는 부분이 열 및 열의 이동이죠? 이와 관련된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풀이 -온도라는 것을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죠? 물체의 온도가 높으면 물체는 열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입자 간의 운동이 활발해지겠죠? 그럼 보기 하나씩 볼까요?ㄱ.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운동이 둔할수록 물체의 온도가 낮다.-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들 간의 운동이 활발하면 어떻게 될까요? 온도가 높아집니다. 쉽게 생각하면 여러분이 활발하게 뛰어다녔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떠세요? 여러분의 몸온도 즉 체온이 올라가겠죠?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도 마찬가지예요. 입자 간의 운동이 활발하면 물체의 온도는 올라갑니다. ..
우리 주변에 현상에는 여러 가지 과학적 원리에 의해서 일어나죠? 그럼 어떤 원리인지 알아볼까요?? 다음 현상에서 해당하는 원리를 찾으시오?ㄱ. 사인펜 잉크의 색소를 분리한다.-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분리합니다. ㄴ. 기차의 철로 사이에 틈을 만든다.- 이는 물질의 열팽창때문이죠. 틈이 없으면 여름에 온도가 높아지면 철로가 휘어질 수 있어서 열차의 탈선을 막을 수 있습니다. ㄷ. 알코올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물질의 열팽창을 이용한 현상이죠. 액체도 열을 받으면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져서 입자 간의 거리가 활발해져 길이 또는 부피가 늘어나죠. 이를 이용한 현상이죠. ㄹ.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분리하였다.- 혈액에 들어 있는 물질들의 밀도차를 이용한 방법이죠. ㅁ. 전압을 높여..
날씨가 점점 추워지는데, 공부는 잘 되세요?? 특히 과학은 어렵다고 느끼고 학생도,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있겠죠? 어렵다고 생각하면 하나씩 하나씩 책의 내용 및 참고서 내용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이해를 하려고 노력하시고, 쉽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자만에 빠질 수 있으니까, 문제를 꼼꼼하게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오늘은 8단원 열평형 문제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문제 문제풀이열평형이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물체를 접촉시켰을 때 두 물질의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을 말하죠. 참고로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즉,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합니다.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하면 온도가 높은 물질의 열이 온도가 낮은 물질 쪽으로 이동하게 되죠. 그러면 고온의 물체는 열을 잃고, 저온의 물체는 열..
기말고사 준비로 인해서 고생 많이들 하시죠?? 어제 블로그 유입 중 가장 많이 들어온 검색어가 염분비 일정 법칙이네요. 그래서 관련 문제 다시 가져왔습니다. 공부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까지 화팅입니다. 누군가 저에게 포기만 안 하면 된다고 했는데요~~ 우리 중학교 친구들, 그리고 부모님들도 포기하지 마시고 늘 격려해 주세요~~그럼 문제를 볼까요??- 첫 번째 문제 -- 문제 풀이 -그림은 동해와 홍해의 바닷물 1kg(1000g)에 들어 있는 여러 염류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죠?? 보기를 보면1) 두 해역 중 염분이 가장 높은 곳은 홍해이다.- 염분을 바닷물 1kg(1000g)에 들어 있는 염류의 양(g)이죠? 그럼 동해와 홍해의 염류를 전부 다 더하시면 그게 염분이 됩니다. 2) 염분..
중학교 2학년 과학에서 지구의 크기는 3단원이죠? 보통 3단원이면 1학기에 배우는데요, 가끔은 2학기에 배우는 학교도 있고요, 지금 과외하는 학생도 기말고사 시험범위라서 관련된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말고사까지 일반적으로 보름정도 남았는데, 다들 열심히 준비하셔서 기말고사 때는 좋은 성적을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문제 보도록 할까요??- 첫 번째 문제 -지구의 크기를 가장 측정한 사람은 에라토스테네스이죠? 그럼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크기를 측정할 때 세운 원리 및 두 가지 가정은??- 문제 풀이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크기를 측정할 때 사용했던 원리는 '부채꼴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 두 번째 지구의 크기를 측정한 세운 가정은 1.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2. 태양광선은 ..
기말고사가 다가오고 있네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으니까요, 천천히 시간을 잘 활용하면서 공부를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봅니다. 다만, 시간이 없다고 조급하게 이 과목, 저 과목 하지 마시고요~~ 알았죠?? 오늘도 염류의 문제 가지고 왔습니다. 한번 볼까요?? 첫 번째 문제 문제 풀이해수에는 물과 여러가지 물질이 녹여 있죠? 물을 제외한 물질을 염류라고 하죠? 이 부분은 알고 있으시고요~~ 염류 중 가장 많이 녹아 있는 것은 염화나트륨이고, 두 번째로 많은 것은 염화마그네슘이죠, 해수 A에 가장 많이 있는 것이 가)이므로, 염화나트륨이 되겠네요. 그럼 나)는 염화마그네슘이 되겠네요. 두 번쨰 염분비 일정 법칙은 해수마다 들어 있는 염류의 양은 다르지만, 염류를 구성하는 비율은 어떤 해수든 같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