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등급에는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이 있죠? 겉보기 등급은 우리 눈으로 보는 별의 밝기이고, 절대 등급은 모든 별이 10pc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 밝기로 실제 별의 밝기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별의 등급간 밝기차도 이야기 했죠? 1등급간의 밝기는 2.5배, 2등급간의 밝기차는 2.5의 제곱배, 따라서 n등급간의 밝기차는 2.5의 n제곱배라고요~~ 여기서 우리는 2.5의 3제곱배는 16배, 2.5의 5제곱배는 100배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문제풀기 쉬우니까, 꼭 암기하세요^^ 그냥 아름다운 별인데.. ㅋㅋㅋ 우리는 저 별의 밝기와 거리를 알아야 하네요~조금은 아쉽네요^^ 표는 등급차에 따른 밝기 하시네요. 친절하게 2.5의 n제곱배가 아니라 계산이 되어 있네요^^ 문제는 3.1등..
밤에 하늘을 보면 별이 보이죠? 근데, 어떤 별은 밝게 보이지만, 어둡게 보이는 별도 있습니다. 이것은 별마다 가지고 있는 밝기가 다르기 때문이죠. 별의 밝기를 등급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별의 등급을 가장 먼저 적용한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입니다. 고대 그리스시대와 지금의 기술력을 비교하기에는 힘들겠지만 , 히파르코스는 사람의 눈으로 별의 밝기를 이야기 했는데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운 별을 6등성이라고 했죠. 지금은 등성보다는 등급을 사용하지만, 비슷한 의미라고 보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히파르코스는 가장 밝은 별을 1등성, 1등성보다 조금 어두운 별을 2등성.... 이렇게 하여 6등성까지 매겼다고 합니다. 그럼 등성마다 ..
지구에서 별을 보면 그냥 한 점 처럼 보이죠? 왜? 멀리 있어서 그래요. 가까운 별도 있지만, 아주 멀리 있는 별도 있습니다. 중3과학에서 별의 밝기를 배우는데, 이때 거리와 밝기의 관계를 물어보죠^^ 과연 별의 거리와 밝기는 어떤 관계일까요? 별의 거리와 밝기를 보기전에 여러분에게 두개의 손전등이 있다고 할께요. 손전등이 밝기는 같지만, 위치가 달라요. 하나는 여러분 앞에 있고, 하나는 여러분한테 약 2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할께요. 두 위치에서 손전등을 비추면 어떤 것이 밝게 느껴질까요? 당연히 가까운 곳에 손전등이 밝게 느껴져요. 왜? 가까우니까요, 별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구에서 가까이 있는 별은 밝게 보이고, 멀리 있는 별은 어둡게 보이죠? 두번째, 별이 빛을 보낼 때 한 방향으로만 보낼까요? ..
연주시차는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서 지구가 태양 주의를 공전한다는 증거중의 하나가 되었죠. 우선 이런 유형의 문제에서는 기준별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요, 기준별은 6개월동안 위치가 변하지 않는 별로 잡으면 됩니다. 그럼 문제에서 별 B가 기준별이 됩니다. 두번째, 그럼 별 A의 시차를 구해야 하는데요, 그런 쉬워요. 어떻게?? 6개월 전과 현재의 시차를 더하면 1년간의 시차가 됩니다. 따라서 별 A 의 1년동안 시차는 0.07 + 0.03 = 0.1초가 되고, 연주시차는 시차의 반인 0.05초가 됩니다. 세번째, 연주시차를 구했으면 거리를 구할 수 있죠? 거리는 연주시차의 역수이죠. 공식은 거리 = 1/연주시차 따라서 별 A의 연주시차가 0.05초 이므로, 거리..
중2 과학 5단원은 우리 몸과 관련된 단원이죠! 우리가 밥을 먹는 이유, 어떻게 에너지를 생성하고, 어떻게 각 세포에 영양소를 전달하고, 오줌이 왜 생성되는지 등등 우리 몸에 관한 꼭 알고 있어야 할 부분입니다. 앞에서 소화에 대한 기출문제를 풀었다면, 이번에는 소화와 순환에 대한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출문제제가 만든 기출문제는 학교 기출문제를 가지고 편집한 것입니다. 따라서 출력을 하여서 푸시면 됩니다. 단, 저작권 문제가 있으므로, 절대로 판매용이나 상업용으로 하지 말아 주세요. 소화 기출문제는 어제 올렸고, 오늘은 소화 몇 문제와 순환에 관한 문제입니다.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문제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을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2학년 5단원은 우리 몸의 구성입니다. 소화, 호흡, 순환, 배설에 대해서 배우는데요, 우리 몸하고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알고 있으면 좋겠죠?? 소화는 우리가 음식물을 먹었을 때 세포들이 흡수할 수 있도록 잘게 분해하여 흡수하는 과정이고 호흡은 외부에 있는 산소를 몸속으로 전달 외에 산소가 세포에 들어가야만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배우는 것이 5단원이죠^^ 각 단원별로 기출문제를 올릴게요^^ 중학교 과학 100점 맞아봅시다^^ 기출문제^^학교 문제를 위주로 편집한 문제들입니다.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있으면 댓글 주세요^^ 그럼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답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